[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세대 핵심기술로 꼽히는 '초고해상도 산화물 TFT 개발' 국책 과제 주관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4년까지 전자 이동 속도가 10배 빠른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기술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에 돌입한다.
이번 개발 과제는 정부 주도의 R&D 프로젝트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총 66개 연구 과제를 선정, 기업과 대학 등의 R&D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을 주도하는 기술은 1000ppi급 초고해상도 모바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적용할 수 있는, 전자 이동도를 한층 높인 산화물 TFT로 소비전력과 함께 TFT 공정 난이도와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스마트폰 등에 탑재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의 밀도와 픽셀을 제어하는 TFT 회로의 집적도가 증가하면서 전자 이동속도가 빠른 TFT를 필요로 한다.
현재 상용화된 산화물 TFT는 공정 전자 이동 속도가 10cm2/Vs (전자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수준으로 모바일 패널에 적용하기 어려웠지만 해당 기술이 상용화되면 저전력 초고해상도 모바일 패널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국책 과제를 총괄하는 추혜용 삼성디스플레이 공정연구팀장(전무)은 "이번 연구는 차세대 TFT 기술을 개발하는 것 외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 등 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가 협력해 국내 소부장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삼성디스플레이 노조, 쟁의활동 투표 '91.4% 찬성률'
- 삼성디스플레이 "OLED 노트북 '다크 모드', 소비전력 25%↓"
- 삼성, '지구의 날' 맞아 스마트폰 업·리사이클링 캠페인
- 삼성디스플레이, 노트20 패널 환경성적표지 인증 획득
- K-전자 '투톱' 삼성·LG, 1분기 '깜짝실적'···'펜트업 효과'에 훨훨
- 삼성디스플레이, 통상임금 합의···노조 "노노갈등 유발" 반발
- 삼성디스플레이, 저전력 OLED 글로벌 고객사로 확대
- 삼성디스플레이, 고주사율 OLED로 게이밍 스마트폰 공략
- 야외서도 선명한 삼성 OLED, UL에 우수 성능 인정
- 삼성디스플레이, 저전력 OLED 신제품 선 봬
- 화물 운송량 급증에···대한항공, 美 동부노선에 중거리 여객기 투입
- 삼성·LGD, 'SID 2021'서 차세대 OLED 기술 과시
- 삼성디스플레이 "AI로 고난도 패널 개발한다"
- [CEO&뉴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메타버스', 산업의 중요 변곡점"
- "최대 70만원 지원"···'갤S20 FE·LG 윙' 공시지원금 상향
- 삼성 노트북용OLED, 친환경 제품 인증 '그린가드 골드' 획득
- 삼성디스플레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첫 발간
- 삼성디스플레이 노사, 첫 임금협상 타결···"상생모델 만들자"
- 삼성디스플레이, 수자원 보호 위해 '생태 식물섬' 조성
- 삼성디스플레이, 'UPC'로 풀스크린 시대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