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어스온이 참여중인 인도네시아 광구 위치도. (사진=SK이노베이션)
SK어스온이 참여중인 인도네시아 광구 위치도. (사진=SK이노베이션)

[서울파이낸스 서종열 기자] 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 자원개발 자회사 SK어스온이 인도네시아의 유망 광구인 노스케타팡(North Ketapang) 광구 지분 34%를 인수하며 동남아시아 자원개발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인수로 SK어스온은 △세르팡(Serpang) △비나이야(Binaiya) 광구와 함께 인도네시아 내 3개 광구 지분을 확보, 연내 탐사정 시추를 목표로 탐사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SK어스온은 지난 23일 페트로나스 노스케타팡 주식회사(PETRONAS North Ketapang Sdn, Bhd.)로부터 지분 34%를 인수했다. 노스케타팡 광구는 자바섬 북동부 해상에 위치하며 기존 원유 생산층 외 신규 지층에서 원유 발견 가능성이 높은 유망 광구로 평가된다. 

SK어스온은 광구 운영권자인 페트로나스(지분 51%)와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 페르타미나(PT Pertamina Hulu Energi North Ketapang, 지분 15%)와 공동으로 탐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3사 간 협력으로 기술·운영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인수는 SK어스온이 추진 중인 동남아 자원개발 클러스터 전략과 맞물려 있다. SK어스온은 지난해 인도네시아 정부 주관 광구 경쟁입찰에서 세르팡과 비나이야 광구 지분을 확보하며 지역 내 입지를 강화했다. 특히 세르팡과 노스케타팡 광구는 자바섬 북동부 해상에 인접해 탐사·생산 효율 및 운영 시너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SK어스온 관계자는 "노스케타팡 광구 지분 확보는 동남아 자원개발 클러스터 전략의 핵심 성과"라고 강조했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세계 주요 산유국 중 하나로, 외국 기업과 합작 형태로 광구가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현지 규제와 경험 있는 운영사와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SK어스온은 이번 인수로 안정적인 자원 확보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신규 지층 탐사와 원유 증산 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게 됐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수가 SK어스온의 장기적 성장 전략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한다. SK어스온은 기존 베트남, 중국, 말레이시아 광구 경험을 기반으로, 인도네시아 광구를 동남아 자원개발 클러스터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에너지 자원 확보 능력을 강화하고 향후 생산량 증대와 수익성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SK어스온은 SK이노베이션E&S를 통한 한·인도네시아 CCS(탄소 포집·저장) 사업 협력도 병행할 방침이다. 자원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 저감과 환경 규제 대응을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으로, 글로벌 ESG 규제 강화에 대응하며 지속가능한 자원 개발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관련업계 한 관계자는 "동남아 광구 사업에서 탄소 관리와 규제 대응 능력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인수는 단순한 해외 투자 차원을 넘어, SK어스온이 동남아시아 내 전략적 자원 클러스터를 구축하며 지속가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글로벌 전략의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SK어스온은 연내 탐사정 시추와 생산 확대를 통해 인도네시아를 글로벌 핵심 자원개발 거점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SK어스온은 "노스케타팡 광구 인수는 동남아 자원개발 클러스터 전략의 핵심 성과"라며 "지속가능한 자원 개발과 탄소 저감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