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삼양식품의 '1963 삼양라면'과 농심의 '농심라면'. (사진=박소다 기자)
(왼쪽부터) 삼양식품의 '1963 삼양라면'과 농심의 '농심라면'.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국내 라면 업계의 원조 삼양식품과 1위 농심이 프리미엄 제품으로 내수 시장에서 정면 승부를 벌이고 있다.

삼양식품은 36년 만에 부활시킨 우지라면 '삼양1963'으로 재도약을 노리고, 농심은 창립 60주년을 기념해 재출시한 '농심라면'으로 점유율 확대와 브랜드 리빌딩에 나섰다. '원조의 자존심'과 '전통의 명성'을 내세운 경쟁이 본격화된 셈이다.

삼양1963을 처음 시식했을 때 가장 눈에 띄었던 점은 면의 색깔이었다. 기존 삼양라면보다 밝고 윤기 나는 면발이 인상적이었다. 국물을 한 숟가락 떠보면 진한 소고기 육수 향이 올라오고, 한입 먹는 순간 우지의 고소함과 청양고추의 얼큰함이 조화롭게 퍼졌다. 기존 라면과는 다른 깊은 풍미와 기름막이 주는 감칠맛의 지속력이 돋보였다.

국물 맛은 예상보다 깔끔했다. 짠맛은 줄었지만 감칠맛과 단맛의 균형이 좋아 뒷맛이 개운했다. 후첨 스프의 향이 첫 번째 향과 마지막 여운에서 차이를 만들어 전체적인 맛의 깊이를 더했다. 매운맛은 강했지만 우지 특유의 부드러운 고소함이 잘 받쳐줘 얼큰함과 조화를 이뤘다.

농심라면은 한우와 채소 육수의 깊은 국물 맛이 특징이었다. 시원하면서도 묵직한 국물과 칼칼한 후첨 분말이 잘 어우러졌다. 면발은 쫄깃하면서 탄력이 있고, 쌀가루가 더해져 씹는 맛이 더욱 풍부했다. 청양고추 향이 은은하게 올라오면서도 국물의 깊이는 유지돼 전체적인 균형이 좋았다.

두 제품 모두 단순한 복고가 아니라 현대적 감각을 더한 '재해석 라면'이라는 점이 공통적이다.

삼양1963은 우지를 활용해 전통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맛을 구현했고, 농심라면은 소고기와 쌀의 조합으로 깔끔하면서도 깊은 풍미를 만들었다. 어느 쪽이 우위를 점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소비자가 원하는 프리미엄·레트로 감성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담아냈다는 인상을 받았다.

채혜영 삼양식품 신성장브랜드본부 부문장도 신제품 출시회에서 "새로운 세대에게는 진짜 라면 맛에 대한 설렘을, 기존 소비자에게는 그 시절의 향수를 전하고 싶다"며 "판매 목표는 기존 삼양라면 이상의 성과"라고 밝혔다.

농심 관계자는 "농심라면 큰사발면은 한우와 우리 쌀의 얼큰하고 깊은 풍미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제품"이라며 앞으로도 브랜드 자산과 기술력을 결합한 제품으로 소비자와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농심라면과 1963삼양라면 패키지. (사진=박소다 기자)
농심라면과 1963삼양라면 패키지. (사진=박소다 기자)

가격은 두 제품 모두 4~5개입 기준 6000원대 후반으로 프리미엄 라인에 속한다. 삼양1963은 기존 삼양라면의 약 두 배 가격이며, 농심라면도 과거보다 가격이 다소 인상됐다. 맛과 품질은 우수하지만, 소비자들의 가격 저항을 어떻게 넘느냐가 시장 안착의 관건으로 보인다.

시식 결과 두 제품 모두 브랜드 재정립의 의도가 명확히 드러났다. 맛, 향, 재료, 조리법, 패키지까지 과거와 현재를 균형 있게 반영하며 소비자 선택지를 넓히고 있었다.

삼양식품은 올해 3분기 매출 6320억원, 영업이익 130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4%, 50% 증가했다. 3분기 해외 매출은 5105억원으로 50% 성장했고, 전체 매출의 81%를 차지했다. 미국과 중국 법인 매출도 각각 59%, 56% 증가하며 주요 수출 시장에서 견조한 성과를 냈다.

다만 내수 시장 점유율은 농심과 오뚜기에 비해 여전히 낮다. 삼양식품은 맵탱, 삼양1963 등 다양한 라인을 통해 내수 확대와 '불닭 편중' 구조를 벗어나려 하고 있으며, 출시 초기 판매 속도도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농심은 3분기 매출 8712억원, 영업이익 544억원, 순이익 506억원으로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44.5%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가격 인하에 따른 기저효과와 올해 3월 주요 제품 가격 정상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두 회사의 전략은 극명하게 갈린다. 해외 비중이 80%에 달하는 삼양은 글로벌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내수 시장 재도약을 신제품에 맡기고, 농심은 내수 기반을 바탕으로 레트로·프리미엄 제품을 통해 브랜드 강화와 글로벌 확대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