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에도 내년 상반기 집값 상승 전망이 절반을 웃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2021년 하반기 전망 조사에서 상승 전망이 62%를 기록한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라고 부동산R114는 전했다.
하락한다는 응답은 14%, 보합 전망은 34%였다. 직전 조사 대비 상승 전망이 3%포인트(p), 하락 응답이 1%p 모두 늘어났지만 상승과 하락 사이의 응답 비중 편차는 3.7배 수준으로 크게 벌어져 있다. 정부의 10.15대책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소비자의 시장 인식에 큰 변화는 없는 상황이라고 부동산R114는 분석했다.
매매 가격 상승 전망 이유로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10.90%) △정부의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영향(6.52%) 등 순이었다.
현 정부의 6.27대책부터 최근 10.15대책까지 다양한 수요 억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서울 주요 아파트와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으로 신고가 현상이 이어지면서 수요층의 불안심리가 반영된 결과라고 부동산R114는 해석했다.
매매 가격 하락 전망 이유로는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38.16%) △경기 침체 가능성(15.94%) △대출 금리 부담 영향(10.6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8.21%)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 확대 영향(7.25%) 등이 꼽혔다.
임대차 가격 답변도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과의 격차를 6~11배(기존 4~8배)로 직전 조사 대비 더 벌렸다. 전세가격은 상승 응답이 57.75%로 하락 응답(9.26%)의 6.2배였고 월세가격은 상승 전망(60.91%)이 하락(5.28)의 11.5배에 달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물건 부족 현상들이 심화되는 것은 물론 대출규제 강화로 전세의 월세화가 동반되고 있어 신축 물건이 부족한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전∙월세 가격의 추세적 상승이 예상되는 분위기라는 분석이다.
전세 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842명 중 34.80%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 정부에서 강화된 대출규제로 인해 위축된 매수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인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23.75%) △서울 등 주요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14.73%)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9.74%) 등 순이었다.
전셋값이 하락한다고 보는 이유로는 전세대출 보증비율 하향 조정과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 제한 등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23.7%)가 가장 많은 응답을 얻었다.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20.74%) △전세대출 부담에 따른 월세시장 이탈(13.33%) △일부 지역 입주물량 증가(12.59%) △전세보증 가입 요건 강화(11.11%)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내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 핵심 변수로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7.01%)'가 우선 순위로 꼽혔다. 이어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 여건'(16.8%),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4.75%) 등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2.57%p다.
- 아파트 하자 통계가 바꾼 판도···건설업계, '품질·사후관리' 경쟁 본격화
- [초점] 규제 벗어난 서울 오피스텔 , '숨은 재테크처’로 떠오르나
- 1~2인 가구 65% 시대···40㎡대 소형 아파트 인기
-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 분양·매매시장 주도 '인기 굳건'
- 59㎡ 찾는 수요는 여전한데···올해 소형 아파트 입주 7.7만 가구 그쳐
- "10.15대책에 서울 아파트값 3주째 상승폭 줄었다"
- 서울 아파트 30대 매수 비중 4년 만에 최대
- 수도권 비규제지역, 10.15 대책 이후 거래량 22%↑
- 연말까지 수도권 3.8만가구 공급···68% 비규제지역
- '비쌀수록 더 올라'···최상급지에 집중된 집값 상승세
- ' 10·15 대책' 이후 규제지역 아파트 전셋값 2% 이상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