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전후 수도권 매매거래량 비교 (사진=직방)
10.15 대책 전후 수도권 매매거래량 비교 (사진=직방)

[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됐지만, 규제지역을 피해 서울 인접 일부 비규제지역에서는 오히려 매매가 늘어나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10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15 대책 발표 후 20일 간(10월16일~11월4일)의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8716건으로 대책 전 20일 간(9월25일~10월14일)인 1만5412건보다 약 43%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등 규제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1만242건에서 2424건으로 거래가 76% 감소했다. 반면, 규제지역에서 제외된 수도권 비규제지역의 아파트 매매거래는 5170건에서 6292건으로 22% 증가했다.

수도권 비규제지역 대책 전후 매매거래량 비교 (사진=직방)
수도권 비규제지역 대책 전후 매매거래량 비교 (사진=직방)

수도권 비규제지역 중 거래량이 두드러지게 늘어난 곳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다. 수원시 권선구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대책 전 143건에서 이후 247건으로 늘며 73% 증가했다. 수원시는 장안구, 팔달구, 영통구가 규제지역으로 묶였으나, 권선구는 비규제 지역으로 남아있어, 특히 구운동, 권선동, 호매실동 등의 대규모 단지 위주로 수요 유입이 늘었다. 

거래가 많이 증가한 지역은 화성시다. 화성시 매매거래량은 대책 전 561건에서 대책 후 890건으로 거래가 증가하며, 단일 지역 기준으로는 가장 많은 건수를 나타냈다. 화성시가 규제지역에서 제외돼 동탄 일대 매물이 소진됐다.

경기도 파주시 역시 대책 전 148건에서 이후 209건으로 41%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GTX-A 개통으로 서울 접근성이 한층 나아지며, 실수요 중심의 매매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구리시는 대책 전 133건에서 이후 187건으로 거래량이 41% 증가했다. 인창동 주공6단지, 주공1단지 등 지하철 8호선 구리역 인근 역세권 단지 위주로 거래가 많았다.

그 외에도 군포시가 126건에서 169건(+34%), 부천시 원미구가 143건에서 179건(+25%)으로 집계됐다.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서울 전역 및 경기 12개 지역의 경우 대책 전 1만242건에서 이후 2424건으로 줄며, 약 76% 감소했다. 감소 폭이 특히 컸던 지역은 △서울 영등포구(-95%) △성남시 수정구(-93%) △성동구(-91%) △경기도 분당구(-89%) △경기 성남시 중원구(-86%) 등이다.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실수요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규제지역이던 서울 강남권에서는 거래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특히 서초구는 대책 전보다 거래량이 소폭 증가(+2%)한 것으로 나타났고, △송파구(-12%) △강남구(-40%) 등도 타 지역에 비해 감소 폭이 낮았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직접적인 규제 영향권에 포함된 지역에서는 매수 심리가 위축되며 거래가 급감한 반면,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거래가 유지되거나 늘어나는 모습이 확인됐다" 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규제 강도와 자금 여건 변화에 맞춰 균형을 조정해 나가는 과정에 놓여 있어, . 정부의 추가 조치가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거래 위축과 수요 이동이 공존하는 혼조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