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고위험 금융상품의 출시 전 신고 내용을 면밀히 살피겠다고 밝혔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의원은 벨기에펀드의 투자 손실 관련 불완전판매 논란에 대해 지적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의원은 벨기에펀드의 투자 손실 관련 불완전판매 논란에 대해 지적했다. 벨기에펀드는 2022년 한국투자증권이 공모 형태로 판매한 부동산 투자 펀드다. 총 900억원을 모집해 이 중 한국투자증권이 589억원,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각각 200억원, 120억원어치를 판매했다.
당시 운용사나 판매사에서는 벨기에 정부 기관이 입주한 빌딩이기에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이후 기한이익 상실로 선순위 대출기관인 영국의 생명보험사가 건물을 헐값에 팔아넘기면서 전액 손실이 발생했다. 금감원은 지난 15일부터 벨기에 펀드 판매사인 한국투자증권, KB국민은행, 우리은행에 대한 현장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 의원은 "90페이지가 넘는 투자설명서에 후순위라고 직접 명기한 것은 '후순위로 변제된다'는 딱 한 줄 뿐"이라며 "후순위를 엿볼 수 있는 내용이 기재됐다 한들 소비자들이 이를 통해 후순위라는 것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투자를 결정한 것이 맞겠느냐는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증권설명서가 부실하게 작성됐고, 금감원에서는 이를 형식적인 심사로만 진행해 걸러 내지 못한 것이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위원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하고 있다"며 "조직개편을 통해 형식적인 대응에 대해 전면적으로 개선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엉터리 같은 상품을 설계한 부분에 대해 필터링 하기 위해 상품의 출시 전에 신고하는 내용을 면밀하게 살펴보려고 한다"며 "이를 위해 실무적으로 보완하려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벨기에펀드와 관련해) 보완 조사를 하라고 현업에 지시한 바 있으며, 납득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조치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