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현대자동차가 올해 2분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감소폭을 보이며 수익성 방어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발 관세 부담과 글로벌 인센티브 경쟁 심화가 수익성을 짓눌렀다는 평가다.
24일 현대차는 올 2분기 매출 48조2867억원, 영업이익 3조6016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5.8% 줄었다. 같은 기간 글로벌 판매는 0.8% 늘어난 106만5736대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국내 18만8540대(1.5%↑) △해외 87만7296대(0.7%↑)로 집계됐다.
현대차 측은 "판매 확대에 따른 외형 성장이 있었지만, 미국 관세 영향과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인센티브 비용 증가 등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하반기 관세 등 통상 환경 방향성에 따라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가 다음 달 1일 발표 예정인 자동차 관세 정책 방향이 실적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회사는 정교한 리스크 분석과 생산·판매 전략 최적화를 통해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연초 제시한 2025년 가이던스는 잠정 유지한다"면서도 "미국발 정책 불확실성을 비롯해 신흥시장 수요 둔화 등을 고려, 하반기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2분기 배당금으로 보통주 기준 주당 2500원을 확정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5% 확대된 수준이다. 회사는 주주환원 확대를 약속한 밸류업 프로그램 이행 차원에서 중간 배당 확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