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미국과 일본이 자동차를 포함한 상호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하면서, 다음 협상 대상으로 한국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다만 미국이 오는 25일 예정된 '2+2 통상협의'를 돌연 연기하면서 불확실성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24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일본과의 상호 관세 타결을 알리며 "상호 시장 개방 확대에 따라 일본산 제품에 부과할 상호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춘다"고 밝혔다. 이에 일본산 자동차에 부과될 관세 역시 기존 25%가 아닌, 기본 관세 2.5%에 추가 관세 12.5%를 더한 총 15%의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번 상호 관세 타결은 일본 정부의 외교적 총력전이 거둔 성과로 풀이된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23일 오전 총리 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2월부터 국익을 걸고 전력으로 협상해왔다"며 "일본과 미국이 힘을 합쳐 고용을 창출하고, 좋은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세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다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완성차 업계는 즉각 반응했다. 도요타 주가는 하루 만에 15% 급등했고, 혼다(+11%), 닛산(+9%) 등 주요 업체 주가도 일제히 상승했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일 간 상호 관세 합의를 계기로 한국 역시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착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같은 날 현대차는 7%, 기아는 8% 각각 오르며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최근 미국은 일본 외에도 영국, 베트남 등과 잇달아 상호 관세를 타결하며 자동차를 포함한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전면 재조정하고 있다. 5월에는 영국과의 협상을 통해 연간 10만대 한정으로 영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7.5%에서 10%로 낮췄고, 7월에는 미국산 자동차 전면 개방을 조건으로 베트남에 부과하려던 관세율을 46%에서 20%으로 내렸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흐름이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셈법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요 교역국들과의 상호 관세 조정을 통해 자국 내 투자를 유도하고, 제조업 회복을 노리는 포석이라는 해석이다. 수입산에 밀려 줄어든 자국산 자동차의 시장 점유율과 이에 따른 고용 위축 속에서 흔들리는 산업 생태계를 되돌리기 위한 압박 수단으로, 관세가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이 같은 통상 압박의 최전선에 놓여 있다. 미국은 지난해 1조2000억달러에 달하는 무역 적자를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자동차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일본에 이어 한국이 자동차 부문 적자 규모에서 두 번째로 큰 수준을 나타냈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무역 흑자국에 대한 미국의 강경 기조에서 예외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국내 대표 완성차 업체 현대차·기아가 감당해야 할 월간 부담이 최대 7000억원에 이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오는 25일 미국에서 열릴 예정이던 한미 2+2 통상협의가 갑작스레 연기되면서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있다. 강영규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 일정으로 25일 협의는 열리지 못하게 됐다"며 "미국 측이 조속한 개최를 제안한 만큼,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일정을 다시 조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과 미국이 관세를 낮춘 상황에서 한국만 소외된다면, 미국 내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며 "현대차·기아가 감당해야 할 비용 부담은 물론, 브랜드 신뢰도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 코스피, 일본·EU 관세 합의 영향 장중 연고점 경신
- "녹십자, 관세 불확실성 해소 후 알리글로 성장 본격화 기대"-흥국證
- 경제8단체 "상법 추가 개정, 심각한 부작용 우려···충분한 논의 필요"
- 뉴욕증시, 최고치 행진에 다시 밈주 열풍···M7 가늠자 테슬라·알파벳 희비
- [속보] 뉴욕증시, S&P500·나스닥 사상 최고…다우 최고치 근접
- 현대차, 2분기 영업이익 뒷걸음질···"관세 부과·경쟁 심화 여파"
- 美관세 직격탄에 수익성 후퇴···기아, 2분기 영업이익 24% 감소
- 현대차·기아, '美 관세 폭격'에 2분기 수익성 꺾였다
- 트럼프 행정부, 반도체 이어 조선에서도 지분 인수 가능성 시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