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영선 기자] 다음달쯤 제4인터넷전문은행(인뱅) 예비인가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2금융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시절에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금융으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을 공약했는데, 자칫 2금융권의 고객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결정을 내달 이후로 미뤘다. 앞서 업계에서는 '제4인뱅'이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사안으로, 정권 교체 후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가 중금리 대출 확대를 기반으로 한 취약차주·소상공인 대출을 강조하면서 추가 동력을 얻었다는 시각이 나왔지만, 인가 후보군에 사업 계획과 자금조달 계획안을 추가 요청하면서 심사가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소상공인 활력 증진 공약의 일환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을 추진해왔다. 민간중금리대출은 연이율 10% 내외 신용대출 상품으로, 신용점수 하위 50%의 중·저신용층에게 판매 가능한 상품이다.
더구나 이번 제4인뱅 심사 기준 중 포용성 항목인 '서민금융·중금리대출 공급계획'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제4인뱅 출범에 거는 기대감이 큰 상태다. 직전 제3인뱅 예비인가 기준과 비교해, 전체 배점(1000점 기준) 자본금 및 자금조달방안(100점→150점), 사업계획 포용성(150점→200점)이 상향 조정된 상태다.
다만 일각에서는 새로운 인터넷뱅크 출범으로 시장 외연이 확장되는 점은 긍적적이나,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의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기관 수가 늘어남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존 서민금융 사업에 초점을 맞춰온 2금융권에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제4인뱅 등장으로 인한 시장 확대는 긍정적이나, 업황이 좋지 않은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설자리가 더 좁아진다는 우려도 있다"며 "업황도 좋지 않아, 새 은행 설립보다 기존 금융사를 제고하는 방침이 낫지 않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2금융권은 차기 정부의 기조에 맞춰 서민금융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상호금융의 경우 연령대가 높은 주 고객층을 타깃으로 하는데다 특례보증 사업을 늘려 인터넷뱅크와 차별점을 가져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례로 새마을금고의 경우, 기업대출을 줄이고 가계대출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저신용자 대상 특례보증대출 사업을 1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출 한도는 인당 최대 5000만원으로, 금리는 연 1~4%다.
반면 서로 주 고객층이 다르기 때문에 2금융권의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나온다. 여기에 중금리대출 상한선에 차이가 커 직접적인 영향은 적다는 의견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각 금융권의 중금리 대출 상한선은 △인터넷은행 8.16% △상호금융 9.91% △카드사 12.39% △캐피털 15.50% △저축은행 17.14% 순이다. 인터넷뱅크가 접근성과 혁신성 부문에서 이점을 지녔더라도, 취약차주 고정층의 수요는 여전히 저축은행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 인터넷뱅크가 손익분기점(BEP) 달성에 3~5년여의 기간이 소요된 점을 감안하면, 출범 이후 시장에 안착되기까지 적잖은 시간·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제4인뱅 사업은 '소상공인' 지원에 방점을 둘 가능성이 높은 만큼 손익분기점을 달성하는데, 좀더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게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더구나 중저신용자를 주고객으로 하는 특성상 연체율이 높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건전성 관리가 최대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소상공인 대출은 신용평가 부문에서 어려운 점이 많은데다 인터넷뱅크의 상한선 특성상 대상자 중에서도 우량고객 위주로 대출해 줄 가능성이 높다"며 "저신용자 대출에 노하우가 많은 저축은행 등의 업권에 비용·제도적 지원을 투입하는 방법도 효율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