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급감했다. 특히 규제 지역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소재 아파트 거래량은 한 달 새 9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최근 1년 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1월 월 3427건에서 2월 6462건, 3월 9675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4월 3191건(전월대비 67%)으로 감소했다.
토허제 재지정인 지역인 강남 3구와 용산구 소재 아파트의 경우 3월 거래량과 4월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한 달 새 거래 90% 이상 빠졌다. 서초구는 지난 한달새 97%(410건→11건) 감소했으며 △용산구 96% 감소(260건→11건) △강남구는 95%감소(802건→37건) △송파구 93% 감소(865건→63건)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4월에 비해 △서초구는 95%(226건→11건) △강남구 87%(289건→37건) △용산구 86%(79건→11건) △송파구는 82%(357건→63건) 각각 감소했다.
특히 토허제는 규제지역외에도 서울 전 지역의 거래량에도 영향을 끼쳐 전체 거래량이 줄어들었다. 전월 대비 △강동구(69%↓) △성동구(68%↓) △동대문구(65%↓) △동작구∙종로구∙중구(64%↓) △마포구(63%↓) △광진구(62%↓) △영등포구(60%↓) △노원구(58%↓) △강서구∙금천구(56%↓) △성북구(54%↓) △양천구(53%↓) △은평구(52%↓) △관악구(50%↓) △구로구∙중랑구(48%↓) △서대문구(47%↓) △도봉구(39%↓) △강북구(30%↓) 순으로 나타났다.
다방 관계자는 "토허제 해제 이후 일시적으로 회복세를 보인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재지정 발표와 함께 매수 심리가 위축돼 빠르게 급감한 상황"이라며 "거래 제한이 강화된 지역을 중심으로 관망하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거래량이 다시 회복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