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중국의 CATL이 현대차의 전기차 플랫폼인 E-GMP에 탑재될 배터리 3차 물량의 절반 이상을 쓸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시장을 독식한 상황에서 K-배터리 시장 마저 위협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3년 이후 출시하는 E-GMP 3차 물량 공급사로 CATL과 SK이노베이션을 선정해 최근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CATL은 3개 차종 중 2개 차종의 배터리를 SK이노베이션은 1개 차종을 따낸 것으로 추정된다.
CATL은 2차 물량을 LG에너지솔루션과 공동으로 따낸데 이어 또다시 물량 확보에 성공했다. SK이노베이션도 E-GMP 1차 가운데 아이오닉5 물량을 단독 수주했으며, 이번 3차에서도 일부 물량 확보에 성공했다.
E-GMP 3차 물량은 2023년 이후 선보일 기아 SUV 등 3개 차종과 현대차 '아이오닉7' 일부 물량 등 총 4개 차종, 9조원대 규모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 아이오닉7의 배터리 공급사 선정은 이번에 제외됐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아이오닉7의 배터리는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인도네시아에서 추진중인 합작법인(JV)에서 생산할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이번 3차 물량까지 현대차의 E-GMP 배터리는 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 CATL의 3파전이다.
삼성SDI는 배터리 스펙 등의 문제로 아직 E-GMP 물량을 따내지 못했다.
배터리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납품회사를 분산해야 하는 현대차 입장에서는 CATL 물량을 쓸 수밖에 없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은 지난 2019년까지 중국물량만 다수 확보하면서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점유율이 0.4%에 불과했다. 그러다 최근 유럽에도 배터리 공장을 신축하는 등 투자를 확대하면서 지난해 점유율을 6.5%까지 끌어올렸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코나 전기차 화재로 인한 리콜 사태 등을 겪은 현대차 입장에서 배터리 업체를 분산할 수밖에 없다"며 "CATL이 국내 기업들의 가장 위협적인 대상임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 LG엔솔, 지난해 중국 제외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량 '1위'
- 배터리 '골든타임' 놓칠라···정세균이 쏘아올린 LG-SK 합의 촉구
- LG에너지솔루션 연내 상장 기대감↑···"늦출 이유 없다"
- 中에 '1위' 내줬지만···K-전기차 배터리 3사, 점유율 33.9% '2배↑'
- LG화학, 1~8월 누적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1위
- '소문난 잔치'로 끝난 배터리 데이···"국내 업계 불확실성 해소"
- '배터리 데이' 하루 앞두고···머스크 "LG화학 배터리 더 살 것"
- 악재? 호재?···LG화학 '물적분할' 평가 엇갈려
- 中 CATL 배터리 탑재 차량 잇단 화재
- 韓 '배터리 전성시대'···빅3, 글로벌 점유율 첫 40% 돌파
- SK이노베이션, SK종합화학 지분 매각 추진
- LG엔솔, 코나EV 배터리 화재원인 '부인'···국토부 '반박'·업계 '우려'
- 현대차 아이오닉 5 돌풍···사전계약 첫날 2만3760대 '최다'
- ITC "배터리 영업비밀 SK가 명백히 침해"···SK이노 "침해 내용 규명 안돼"
- 현대차그룹, 초고속 충전 브랜드 '이-피트'···생태계 비전 제시
- 삼성SDI, '심해저 광물 채굴 방지 이니셔티브' 참여
- 삼성SDI, 1분기 영업이익 1332억원···전년비 146% 증가
- 삼성SDI 방문한 문승욱 장관 "이차전지 기술개발·기업 육성"
- 文대통령 "K-배터리, 더욱 확실한 주도권 가져가야할 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