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무종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플랫폼 대기업들과의 간담회가 무산됐다.
21일 민주당과 업계에 따르면 당 핵심 관계자는 지도부와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배달의민족, 라이엇게임즈 등 4개 플랫폼 기업이 만나는 간담회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들 기업은 최근 민주당이 추진하는 이익공유제 참여가 의제로 오를 것을 우려해 난색을 보였다.
당 측은 이익공유제 참여를 권하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애로사항 등을 들어보기 위한 자리로 추진했다는 입장이지만 해당 기업에선 상당히 부담을 가진 것으로 전해진다.
한 관계자는 "실무진 차원에서 논의를 하다가 기업에서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밝혀 무산된 것"이라며 "당 차원에서 추진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개별기업 대신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인터넷기업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등 주요 플랫폼 기업들이 소속된 단체들을 오는 22일 먼저 만나 입장을 듣기로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이자 멈춤? 이익 공유?···코로나 후폭풍에 은행권 '속앓이'
- 네이버클라우드, 게임 특화 상품 라인업 강화
- '어색한 만남' 이낙연, 플랫폼 업계와 간담회···"상생·연대 발전, 고견 달라"
- [기자수첩] 강제성 띤 '코로나 금융', 부작용 우려된다
- 카카오페이지-카카오M 합병,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출범
- 은행, '역대급' 실적의 딜레마···'팔비틀기' 정당화 우려
- 카카오톡 지갑, 이용자 550만명 돌파···QR체크인·자격증도 추가
- 네이버-빅히트,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 공략 '맞손'
- 네이버, 지난해 영업익 1조2153억원 '역대 최대'···"비대면 수혜"
- 네이버 D2SF, 스타트업 '올링크·세븐포인트원' 투자
- 카카오엔터프라이즈-특허청, AI 활용 공공서비스 혁신 '맞손'
- [전문] 김범수 카카오 의장 "사회문제 해결 위해 재산 절반 이상 기부"
- '동학개미' 10명 중 6명 "이익공유제, 주주 재산권 침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