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한진그룹 경영권을 두고 조원태 회장과 분쟁을 벌이고 있는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 반도건설로 구성된 '3자 주주연합(이하 3자연합)'이 최근 대한항공의 기내식기판 사업 매각과 관련해 아쉬움을 표했다.
3자연합은 26일 입장문을 통해 "대한항공 기업가치에 대한 깊은 고민과 임직원들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금번 기내식기판 사업 매각 결정에 아쉬움을 표한다"고 밝혔다.
전날 대한항공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경영난에 처하자 자본 확충의 일환으로 '알짜'로 꼽히던 기내식기판 사업부를 사모펀드(PEF) 한앤컴퍼니에 9906억원에 매각키로 결정했다.
이에 3자연합은 "기내식 및 기내면세 사업부는 항공업과 시너지 효과가 크고 수익성이 높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그룹의 실적 회복의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돼 왔다"며 "때문에 임직원들은 고용불안을 우려해 적극적으로 매각 결정에 반대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2분기 대한항공이 별도재무제표 기준 1484억580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에 대해서는 "화물전용기를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하고 있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함께 반사이익을 누린 것"이라며 "본업인 여객운송사업이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조 회장의 자화자찬으로 홍보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 닥칠 위기에 근본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할 시점"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아울러 3자연합은 "지난 1월 31일 발표한 공동입장문과 동일하게 주주연합은 한진그룹 경영 효율화 및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현재 코로나 19 사태 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를 대비하는 것"이라며 독립적인 전문경영인제도의 도입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최근 주주연합 간 불협화음이 벌어지고 있고 임시주주총회 소집청구를 하지 않기로 했다는 일부 언론보도는 사실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 7월 주식 발행 규모 전년比 75.6%↑···"유상증자 영향"
- 대한항공, 기내식 매각으로 자본 2조 확충···채권단 요구 충족
- 대한항공, '알짜' 기내식 사업 9906억원에 팔았다
- 대한항공, 이달 내 기내식기판 사업 SPA체결···유동성 확보 속도
- "송현동부지 공원화 막아달라"···대한항공, 권익위에 의견서 제출
- 조원태의 '역발상'···대한항공, 2Q 영업익 1485억 '깜짝실적'
- 여객 가뭄에 출혈경쟁···LCC업계, 2분기 '적자확대' 예고
- [포스트코로나] 항공업계, 급감한 여객매출 화물로 메꾼다
- '모든 가능성' 승부수 던진 産銀···정몽규의 최종 선택은?
- 8월 27일 개장 전 주요공시
- 대한항공, '하이브리드 드론' 신시장 개척···중소기업과 '맞손'
- 금호그룹 '계열사 부당지원' 덜미···공정위, 박삼구 고발 (종합)
- 대한항공, 16년 연속 글로벌고객만족도 1위
- "대한항공, 항공운수업계 구조조정 수혜 전망"-하이투자證
- 대한항공 "올해 승진 인사 안해···코로나19 여파 극심"
- 조현민 한진칼 전무, ㈜한진·토파스여행정보 임원 선임
- HDC현산, 아시아나항공 재실사 요구···사실상 '노딜' 수순
- KCGI "조현민 전무 선임, 한진그룹 기업가치 저해"
- "화물이 답이다"···항공업계, 코로나 장기화에 줄줄이 여객기 개조
- HDC현산 "'아시아나 M&A 무산' 금호 탓"···계약금 반환소송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