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강도 높은 매파 발언으로 국내 채권금리가 일제히 뛰면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고정금리도 6% 중반대까지 치솟았다.
예대금리차 공시 등의 영향으로 시중은행들이 지난주 대출금리를 앞다퉈 인하했지만, 치솟는 시장금리에 그 효과를 누리기도 전에 무용지물이 됐다. 은행 주담대금리가 금융채, 국고채 등 시장금리에 연동돼 있기 때문이다.
30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주담대 고정(혼합)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5년물(무보증·AAA) 금리는 지난 29일 연 4.280%로 올해 최고점을 갈아치웠다.
금융채 금리는 최근 급등하는 추세다. 금융채 5년물(무보증·AAA) 금리는 지난 24일 3.919%, 25일 4.119%, 26일 4.154%로 뛰면서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29일엔 이보다 0.126%p(포인트) 더 뛰었다.
금융채 금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달 25일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 후 추가 인상 기조를 내비치면서 뛰기 시작했다. 여기에 주말 사이 파월 의장이 추가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한번에 0.75%p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기름을 부었다.
금융채 금리가 뛰자 이에 연동되는 주담대 고정(혼합)금리도 일제히 올랐다. 이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금융채 5년물)는 연 4.37~6.428%로, 하루 새 최고금리가 0.318%p 뛰었다. 2주 전까지만 해도 5% 후반대였던 고정형 주담대 최고금리는 이제 6% 중반대를 기록하고 있다.
금융채 급등은 주담대뿐 아니라 신용대출 금리 상승에도 영향을 미쳤다. 신용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1년물(고정)과 6개월물(변동)은 지난 29일 각각 3.755%, 3.345%를 기록, 연중 최고점을 갈아치웠다. 1년물의 경우 지난 2011년 8월 5일(3.79%) 이후 11년 만에, 6개월물은 지난 2012년 7월 5일(3.35%) 이후 10년1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날 기준 5대 은행의 대표 신용대출 상품 금리는 금융채 6개월물 기준 연 4.58~7.03%, 1년물 기준 연 4.70~7.43%다.
글로벌 긴축 기조에 시장금리가 당분간 더 뛸 것으로 예상되면서 최근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인하했던 효과도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주요 은행들은 이달 22일 예대금리차 공시가 시행된 후 24일부터 가계대출 금리를 최대 0.5%p 인하한 바 있다.
신한은행은 24일부터 개인신용대출 금리를 0.3~0.5%p, 주담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0.2%p, 0.1%p씩 인하했다. 국민은행은 25일부터 주담대 고정금리 상품의 금리를 0.2%p 낮췄다. 농협은행도 26일부터 서민금융 상품에 최대 0.5%p 우대금리를 신설하는 방식으로 대출금리를 인하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금리를 인하하기 위해 당국이나 은행이 아무리 여러 방안을 내놓아도 시장금리가 이렇게 오르는 상황에서는 쉽지 않다"며 "기준금리가 인상된 데다 금융채까지 오르면서 이번에 대출금리를 인하했던 효과가 그리 길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이창용 한은 총재 "통화정책 방향 변함 없다"
- '파월 입'에 요동친 韓금융시장···증시 2%대↓환율 19.1원↑
- "고물가 지속되면"···잭슨홀 간 이창용, '빅스텝' 가능성 다시 열어놔
- 파월 "한번 더 큰 폭 금리인상"···3연속 '자이언트스텝' 예고 (종합)
- 7월 은행 가계대출 금리 4.5% 돌파···한은 '빅스텝' 영향
- 기준금리 1년 새 2%p '껑충'···가계 이자 27조 폭증·영끌족 비상
- 신한·국민·농협은행, 대출금리 인하···'예대금리차 공시' 여파
- 치솟는 금리에 가계대출 8개월 연속 '뒷걸음질'
- "믿을 건 예·적금뿐"···5대 시중은행 한달 새 18조 몰려
- 부동산 거래 절벽에 '화들짝'···정부, '15억 초과 주담대' 만지작
- 15억주택 대출 완화?···DSR·高금리에 실효성 '글쎄'
- '15억 주담대' 족쇄 풀리나···정부 '선 긋기' vs 시장 '규제 완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