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의 외부 준법감시 조직인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임기가 곧 종료되는 김지형 위원장의 후임 인사를 이르면 이번 주 중 발표할 예정이다.
새로운 위원장이 선임되면 준법위 소속 위원 구성도 바뀔 것으로 예상돼 내년 초 2기 위원회가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준법위는 내년 2월 초 임기가 끝나는 김 위원장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인선 작업을 진행 중이다.
준법위 위원장과 위원들의 임기는 2년이고 연임할 수 있지만 대법관 출신인 김지형 초대 위원장은 연임하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위원회는 조만간 차기 위원장 후보를 발표하고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SDI 등 7개 협약사의 이사회 승인 절차를 거쳐 차기 위원장을 확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위원장 선임에 따라 준법위 소속 위원 구성도 바뀔 전망이다.
삼성 준법위는 이재용 부회장의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삼성 내부 준법감시제도 마련 등을 주문한 것을 계기로 지난해 2월 출범했다.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물산 등 삼성 7개 주요 계열사가 협약사로 참여하며 준법위의 감시를 받고 있다.
1기 준법위는 경영권 승계와 노동, 시민사회 소통 등을 3대 준법의제로 정하고 준법경영 감시 활동과 관련한 후속 조치를 권고해왔다.
지난해 5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준법위 권고에 따라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 무노조 경영 철폐와 4세 경영 승계 포기 등을 공개적으로 약속하기도 했다.
준법위는 지난 9월 발간한 연간보고서에서 삼성 지배구조 개편 과제를 후속 과제로 꼽았는데 내년 초 출발하는 2기 준법위도 기존 3대 준법의제와 함께 삼성 지배구조 문제를 들여다볼 것으로 예상된다.
- 삼성 준법위 "CEO 준법의무 위반 방지 기준 강화하라"
- 삼성 준법위 "CSR 사업 고유 가치·의미 구현하라"
- 삼성 준법위, 삼성물산에 중대재해법 관련 규제 강화 주문
- 삼성 준법위 "컨설팅 결과 토대로 지배구조 개선활동 하겠다"
- 삼성 준법위, '웰스토리 부당지원' 논의···계열사 노사교섭 점검
- 삼성 준법위, 노사관계 자문진과 소통···"지속 교류·협조"
- 삼성 준법위 "사업지원TF, 준법리스크 대응 방안 마련해야"
- 삼성 준법위, 7개사 최고경영자 만나 "준법경영 강화 논의"
- 삼성 준법위 "4세 승계 포기보다 실효성 있는 조치 있나"
- 이재용 부회장 "준법위, 본연 역할 다해달라"···옥중 메시지
- [이재용 구속] 명분 약해진 삼성준법위···향후 거취·역할은?
- 이재용, 삼성준법감시위 만나 "독립활동 계속 보장"
- 특검-이재용 측 '삼성 준법위 평가' 해석 충돌···재판부 판단은?
- 삼성 라이프스타일 TV, 디지털 캔버스 되다
- 삼성, 차세대 서버용 SSD 개발···"읽기·쓰기 속도 1.9배 향상"
- 삼성 준법위 2기 위원장에 이찬희 前 대한변협 회장
- 삼성, 스타트업과 함께 CES 2022 참가···C랩 전시관 운영
- 삼성 中시안 반도체 사업장 생산라인 축소···코로나 봉쇄 영향
- [신년사]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우리의 미래는 초일류 테크 부품회사"
- 삼성 준법위, '대기업 준법경영' 토론회 개최
- "삼성 준법위, 총수 감시 진일보했지만···독립·자율성 한계"
- 삼성SDS, 중소 수출기업 해외 물류 서비스 지원 확대
- 내달 출범 삼성 준법위 2기···이찬희 위원장 "지배구조 반드시 개선"
- 삼성SDS, 지난해 매출 12조6300억원 '사상최대'···"올해 MSP 사업 강화"
- 2기 삼성 준법위 첫 회의···"추진 과제 인권·투명·ESG 경영"
- 삼성SDS, AWS 익스클루시브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참여
- 삼성SDS, 올해 주목해야 할 4대 보안 위협 선정
- 삼성준법위, 내달 최고경영진과 간담회···"현안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