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은행이 고객 자산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재산관리자'로 업무를 확대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금융위원회가 은행이 관리할 수 있는 고객 신탁재산의 범위를 대폭 늘리고, 부동산에 제한돼 있던 투자자문업을 전 상품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하면서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고 위원장을 포함해 김종민 금융감독원 부원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김학수 금융결제원장, 허인 KB국민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권광석 우리은행장, 권준학 NH농협은행장, 임성훈 대구은행장, 서호성 케이뱅크 대표가 참석했다.
고 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모바일·비대면 금융거래 증가, 금융서비스의 언번들링(서비스 분리) 및 리번들링(서비스 통합), 금융산업의 플랫폼화 등이 진행되는 가운데 빅테크 플랫폼의 금융진출 확대로 경쟁구도도 변하고 있다"며 은행산업 발전을 위한 세 가지 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해 은행의 겸영·부수 업무를 대폭 확대한다. 은행이 종합재산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탁재산 범위를 확대하고 다양한 방식의 신탁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한다. 아울러 부동산에 제한돼 있던 은행의 투자자문업을 전 상품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한다.
고 위원장은 "은행이 차별화된 투자자문과 투자자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면 투자자문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의 음식배달 서비스,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서비스 등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은행권이 운영하고 있는 플랫폼 사업에 대해서도 부수업무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은행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제도적 여건도 조성하기로 했다. 금융그룹이 하나의 '슈퍼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은행·보험·증권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망분리 합리화와 금융·비금융 정보공유 활성화를 검토하는 한편, 은행의 디지털 신사업 투자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빅테크·핀테크와의 공정 경쟁 환경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금융권과 빅테크 간 불합리한 규제 차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독방식 등도 개선할 방침이다.
고 위원장은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금융안정과 함께 금융발전이 필수 과제"라며 "금융위원장 취임 이후 가계부채 등 시급한 금융안정 과제에 집중해 왔는데, 오늘 은행권 간담회를 시작으로 금융산업 발전 논의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고승범 금융위원장-주요 시중은행장 간담회
- [전문] 고승범 "은행업 디지털 전환 제도적 여건 조성"
- 고승범 "차주별DSR 조기 시행···전세·신용대출 원리금 상환 유도"
- [전문] 고승범 금융위원장 가계부채 대책 발표
- 대출 옥죄기 의식했나···금융당국, 은행권 숙원사업 빗장 푼다
- "승진하면 대출금리 깎아드려요"···年2회 금리인하요구권 안내
- 우리銀, 우리원뱅킹서 'MZ세대·시니어 전용 메인화면' 제공
- 신한은행-이랜드그룹, 디지털 금융서비스 개발 업무협약
- NH농협은행, 프리미엄 농축산물 공동구매 서비스 출시
- [CEO&뉴스] 허인 국민은행장 "금융의 미래는 플랫폼···초개인화 종합금융 제공"
- 하나은행, 외국환 특화 '글로벌 뱅킹 센터' 개점
- 하나은행, 디지털 탄소저감 '제로-백 챌린지' 실시
- 하나은행, 더 뱅커·PWM 선정 '2021 대한민국 최우수 PB은행상'
- KB국민은행, 기업 디지털 금융서비스 새단장
- 금융결제원, 금투사·서민금융기관에 이사회 발언권 부여
-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은행 점포폐쇄 불가피···데이터 경쟁력 강화"
- 은행권, 인수위에 '가상자산·투자일임업' 진출 허용 요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