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100인 이상 주한 외국인 투자기업(이하 외투기업) 10곳 중 7곳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매출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투기업들이 가장 큰 부담을 호소한 기업정책은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등 노동정책으로 나타났다. 올해 코로나19 등 악재가 겹쳐 국내경기 부진 우려가 큰 만큼 정부가 외투기업 지원 확대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종업원수 100인 이상 외투기업 150곳을 대상으로 경영환경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코로나19 확산이 기업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감소'로 예상한 응답이 67.3%로 조사됐다. 특히 300인 이상 기업 26개사 중 76.9%가 매출 감소를 예상한다고 응답, 대기업에서도 매출 타격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외투기업의 80.7%는 올해 한국의 경제상황이 작년보다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으며, '개선될 것'이란 응답은 1.3%에 그쳤다. 지난해 2.0% 수준이었던 경제성장률이 올해는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들이 많았다.
주한 외투기업의 74.0%가 가장 부담이 되는 기업정책으로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정책'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증세 등 조세정책(10.7%)' '서비스 및 신산업규제(4.7%)' '기업지배구조 규제 강화(4.7%)' 등이다. 2년 전 설문과 비교하면 노동정책 응답(65.0%)이 9.0%p 늘어나 외투기업이 체감하는 노동정책 부담이 최근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경연을 설명했다.
최근 변화한 외국인투자 정책 중 가장 크게 영향 받는 정책으로는 응답기업의 56.0%가 지난해 시행된 '외투기업 법인세 감면제도 폐지'라고 답했다. 정부가 외투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내걸고 올해 2월 발표한 △현금지원 인센티브 적용대상 확대(26.7%) △현금지원비율 상향조정(10.7%) △미처분 이익잉여금 재투자의 외국인투자 인정(4.7%)을 선택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정부의 세밀한 정책적 배려가 효과가 있지만 법인세 감면 등 큰 혜택이 사라진 데 대한 외투기업들의 아쉬움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5년간 한국에서의 기업 경영여건 변화를 종합평가하는 질문에는 '악화됐다'는 평가가 22.6%로 '개선됐다(13.4%)'는 응답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2년 전 설문과 비교하면 '개선' 응답은 9.1%p 감소하고 '악화'는 0.9%p 늘었다.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경제활력 제고 차원에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확대가 시급한데 유치금액은 지난해 128억 달러로 1년 새 26.0% 감소했다"며 "올해는 코로나19 등 악재가 겹쳐 외투기업들이 국내경기 부진과 매출 감소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노동규제 완화, 외투기업 지원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 외투기업들의 경제심리 회복을 이끌어 내야한다"고 강조했다.
- [코로나19 추경] 文 정부 최대···메르스 넘는 '슈퍼 추경'
- [일문일답] 홍남기 "'적자 국채' 불가피···필요시 추경 이상의 대책 강구"
- [코로나19 추경] '슈퍼 추경' 11.7조...'적자국채' 10.3조 발행 (1보)
- 신보 노사, 코로나19 극복 성금 5000만원 기부
- 의구심 키운 美 '깜짝' 금리인하···원·달러 환율 '8.2원↓'
- LG, 총 550실 기숙사·연수원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제공
- 한화생명, 해외투자 한도 완화 '기대'···자산운용 숨통 틀까?
- 국민연금, 2019년 기금운용 수익률 11.3%···수익금 73조
- 정부, 코로나19 확산에 무역금융 3조여원 추가 지원
- 신용길 생보협회장 "해외투자, 공·사보험 정보공유 등 제도개선"
- 韓 시간제근로자 10년새 49%↑···"코로나19로 고용 질 악화 우려"
- 한경연, 올해 성장률 1.9%→-2.3%···IMF 이후 첫 역성장 전망
- 한경연 "코로나19 충격, 5월 수출·자동차 전망 역대 최저"
- "코로나19에 외국인 투자 2분기 이후 급감할 듯"
- 한경연 "휴대전화·가전·차 등 '구글세' 대상서 제외해야"
- 거래소 "코스피 211社,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완료"
- 한경연 "사업구조조정 지원세제, 상시화·확대돼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