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전동화연구소에서 테크 브릿지 2025를 진행한다.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전동화연구소에서 테크 브릿지 2025를 진행한다. (사진=현대모비스)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현대모비스는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전동화연구소에서 '기술을 잇고, 주행을 만나다'를 주제로 '테크 브릿지 2025'를 진행하고 올해 개발한 신기술 50개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테크 브릿지 2025는 전동화와 모듈 부문을 통합한 양산용 신기술 연구개발 성과 공유회다. 회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배터리와 구동부품 등 전동화 분야에서 28개, 섀시모듈과 운전석·실내조명·외장 등 모듈 부문에서 22개의 신기술을 선보였다.  

대표 신기술은 소형 전기차에 특화된 120킬로와트(kW)급 구동계다. 도심형 운송차량에 특화한 것이 특징으로, 부피는 축소하고 더 많은 적재가 가능하도록 부품 높이를 낮춘 저상형 구조로 설계됐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는 중형과 대형에 이어 전 차종을 아우르는 라인업을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충전속도를 2배 가까이 높인 신기술도 소개했다. 차세대 22kW급 통합충전제어유닛(ICCU)으로 고속 충전 시에도 배터리 전압과 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충전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안전성을 확보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전동화와 모듈부품은 부품사의 역량을 측정하는 종합 척도"라며 "이를 적시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와 함께 설계, 생산기술, 양산경험 등이 필수로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