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외벽(왼쪽)과 DL이앤씨 (사진=각 사)
GS건설 외벽(왼쪽)과 DL이앤씨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건설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국내 5대 건설사들이 연구개발(R&D) 투자에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일부 기업은 미래 기술 확보 차원에서 투자를 늘리고 있고, 또 다른 기업은 수익성과 비용 관리에 초점을 맞춰 R&D를 줄이는 흐름이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은 여전히 1% 내외에 머물며 스마트 건설로의 도약은 더딘 상황이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건설은 올해 상반기 매출 3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률은 5.1%로 실적이 회복세를 보였다.

도시 정비 수주액은 5조1440억원으로 작년 총액을 넘어서는 호조세를 기록했으며,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 매각도 재무구조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연구개발 투자에는 소극적이다. 매출 대비 R&D 비중은 지난해 0.54%에서 올해 상반기 0.48%로 후퇴했다.

이에 대해 GS건설 관계자는 "연구소에 포함됐던 조직 일부가 다른 조직으로 이관돼, 회계상 연구개발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사적인 R&D 투자 규모 등은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DL이앤씨도 상반기 매출 1조9914억원, 영업이익 1262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성과를 냈다. 그러나 R&D 투자 비중은 2023년 0.91%에서 올해 상반기 0.52%로 줄었다. 특히 인건비를 46% 가까이 축소한 점이 두드러진다. 신규 착공 현장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개선에는 성공했으나, 기술 투자 축소는 장기적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DL이앤씨 관계자는 "현재 반기 기준 수치로 나타난 것"이라며 "하반기에는 집행 예정인 연구개발 예산이 반영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건비 역시 실제로 큰 차이는 없으며 용역비와 연구개발비 일부가 줄어든 건 사실이나, 하반기에는 관련 집행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일부 대형 건설사들은 실적과 관계없이 R&D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 우위를 모색한다. 

대우건설은 올해 상반기 실적 부진(전년 상반기 대비 매출·영업이익 각각 10.4%와 21.6% 감소, 430억원 당기 순손실)에도 올해 상반기에만 455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집행했다.

특히, 매출 대비 비중도 지난해 0.79%에서 올해 0.99%로 늘었다. 지난해에 비해 올해 정부 보조금이 축소됐지만 자체 투자금이 늘면서 기술력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이는 업계 1·2위의 삼성물산과 현대건설과 함께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비율이다. 

삼성물산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1180억원으로 전년 동기(2830억원) 대비 58.3% 감소하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그러나 연구개발 투자에서는 오히려 확대 기조를 이어갔다. 건설부문 연구개발 인력은 139명으로 업계 최상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 역시  5575억원(2024년)에서 올해 상반기 3245억원을 집행했다. 매출 대비 비중도 1.14%에서 1.65%로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삼성물산의 전체 R&D에는 바이오로직스, 삼성웰스토리 등이 포함된다.

업계에 따르면 건설부문 비중은 약 30% 수준으로, 상반기 약 973억원이 투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 보조금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경쟁력 강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현대건설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217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47.3% 늘었다. 연구개발비도 2023년 1653억원에서 지난해 1779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963억원을 집행했다. 매출 대비 R&D 비중은 전년보다 0.04%포인트 상승해 1.20%를 기록, 대형사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적·수주·기술 투자 세 축을 동시에 강화하며 '균형 성장'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건설기업의 기술개발을 위한 R&D 투자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최근 대형 건설기업을 중심으로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R&D 투자가 일부 개선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기업 차원의 이러한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인센티브를 운영·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