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현 대우건설 사장(가운데)가 30일 서울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열린 '2025 대우건설 스마트건설 포럼'에서 직원들의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김예온 기자)
김보현 대우건설 사장(가운데)가 30일 서울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열린 '2025 대우건설 스마트건설 포럼'에서 직원들의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김예온 기자)

[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대우건설은 30일 서울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2025 스마트 건설 포럼'을 개최해 건설산업의 미래 비전과 스마트 기술 혁신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포럼에는 대우건설 임직원과 협력사, 정부와 기관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김보현 대우건설 사장은 축사에서 "벽돌과 시멘트로 상징되던 건설 현장은 이제 데이터와 알고리즘, 로봇 기술이 어우러지는 첨단 기술의 경연장이 됐다"며 "BIM과 AI의 융합을 통한 데이터 기반 건설 혁신, 드론과 로보틱스의 현장 적용, 디지털트윈을 통한 시공 시뮬레이션이 곧 대우건설의 미래 청사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스마트 건설은 대우건설이 나아가야 할 핵심 방향이자 건설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동력"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스마트 건설 확산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명주 국토교통부 기술정책과장은 "건설업은 현재 젊은 세대에게 기피되는 산업이지만, 워라밸과 안전한 근로환경이 뒷받침돼야 청년 인재 유입이 가능하다"며 "정부는 건설업계의 디지털 전환과 자동화를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학계에서는 건설업계의 현주소와 과제에 대해 날카로운 진단이 나왔다. 진경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산업진흥본부장은 "스마트 건설 기술 개발은 활발하지만, 사업화 수준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프로세스 표준화에 시간이 걸리고, 데이터 지식 축적도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대기업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진행돼 건설업계 내부에 온도 차가 크고, R&D 투자 규모도 여전히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스마트 건설 기술의 필요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변우철 KT P-Tech 상무는 "산업 전반을 비교하면 건설업의 디지털화 수준은 가장 낮다"며 "프로세스가 마련돼도 현장에서는 관성적으로 기존 방식을 따르는 경향이 많다"고 평가했다. 이어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출입 관리부터 외국인 근로자 교육까지 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구형 엔비디아 팀장은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활용한 건설산업에 대해 설명하며 "건설업계는 시행착오를 현장에서 겪기보다 가상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스마트건설 참여기업 부스 (사진=김예온 기자)
스마트건설 참여기업 부스 (사진=김예온 기자)

이번 포럼에서는 강연뿐만 아니라 스마트 건설 기술 전시도 함께 진행됐다. 7개 기업이 AI 분석, 모듈형 건설 로봇, 자재 운반 및 물류 데이터 관리 등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대우건설은 이번 행사를 통해 스마트 건설을 '미래 먹거리'로 삼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회사는 AI 시스템 고도화로 데이터 중심 업무 혁신을 추진하며, 드론과 소프트웨어 기반 현장 관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공간정보 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혁신에 힘쓰고 있음을 전했다.

올해부터 토공 산출 보고서 자동화를 도입해 효율성을 높이고, 현장에 흩어진 비정형 데이터를 표준화해 AI 학습에 적용하고 있다. 또한 위협 분석 기반 설계 검토, 워터드롭 기능을 활용한 유수 경로 시뮬레이션, 공간정보 플랫폼 설계를 통해 누락되기 쉬운 원가 요소를 반영해 공정 리스크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기반 위에 대우건설은 발주처와의 커뮤니케이션 툴, 프로젝트 검증·개발 인프라, AI 운영 플랫폼 등 사업 영역을 넓히며 스마트 건설 생태계 선도를 목표로 한다.

박상현 대우건설 스마트건설연구팀장은 "우리는 건설회사이지만 이제 소프트웨어, AI, BIM,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야 할 시점"이라며 "스마트 건설 기술은 대우건설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우건설은 앞으로도 글로벌 기업 DJI 등과 협업해 스마트 건설 기술을 기반으로 업계 혁신을 주도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