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제주도는 지난 2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양희원 현대차그룹 연구개발(R&D)본부장 사장,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사업본부장 부사장, 오영훈 제주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도 그린수소 및 분산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주도가 추진하는 2035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맞춰 그린수소와 분산에너지 중심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이용해 온실가스 배출 없이 물을 분해해 얻는 수소를 말하며, 분산에너지는 소규모로 지역 곳곳에서 생산·소비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양측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 실증 △수소 모빌리티 확대 및 인프라 확충 △수소트램 도입 검토 △항만 탈탄소를 위한 친환경 물류 운송 등 수소산업 전 과정에서 협력을 이어간다. 이에 그룹은 오는 2029년까지 김녕풍력발전단지에서 5메가와트(MW)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 양산 기술을 개발하고 대규모 실증에 돌입한다.
제주도는 내년부터 수소승용차 구매 보조금을 지원하고, 수소버스·수소청소차를 추가 도입한다. 현대차그룹과 협력해 수소충전소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도시철도망 구축 시 수소트램 도입, 항만 청정 물류 인프라 조성 등도 검토한다.
분산에너지 분야에서는 △특화지역 내 V2G(Vehicle to Grid) 시범서비스 △V2G 기능 탑재 전기차 보급 △V2G 인프라 확대 정책 유치 등 다양한 협력이 추진된다. 이를 통해 에너지 자립과 전력망 효율화를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그룹은 이번 협약이 제주도의 2035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은 물론 지역 친환경 산업 도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 사장은 "재생에너지 전반에 걸친 협력을 통해 제주도의 탄소중립 실현과 K-탄소중립 이니셔티브에 기여할 것"이라며 "그룹 역량을 적극 활용해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앞당기겠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이번 협약으로 수소·분산에너지 기반 에너지 대전환을 본격화해 제주도가 글로벌 에너지 신산업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대차, 10월 신입·경력 대규모 채용···"전 사업 부문서 인재 확보"
- 트럼프, 한국산 車에만 25% 관세 부과···현대차, 현지화로 돌파구 모색
- 현대건설, 전북 부안에 수전해 기반 청정수소 생산기지 준공
- "명절 자금 숨통 틔운다"···현대차그룹, 협력사 납품대금 2조원 조기 지급
- 李 대통령 주문에 삼성·SK·현대차 등 대기업 채용문 활짝
- 현대차그룹, 올해 청년 7200명 채용···내년 1만명 확대 검토
- 현대차그룹, 美 카즈닷컴 '2026 전기차 톱 픽' 3관왕···전동화 기술력 입증
- 현대차, '2026 쏘나타 디 엣지' 출시···신규 트림 추가로 경쟁력 강화
- [수소 모빌리티 로드맵①] 기름·전기 넘어 수소로···현대차, 승용·상용 아우르며 주도권 강화
- 희토류 의존도 낮춘다···다원시스, 차세대 고속철 추진제어 시스템 개발
- [수소 모빌리티 로드맵②] 토요타·BMW·혼다, 차세대 연료전지로 추격 고삐
- [수소 모빌리티 로드맵③] 산업현장·대중교통으로 번지는 수소 물결
- 현대차그룹, 인니서 인재육성 지원·교육격차 해소 앞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