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 본사 앞. (사진=연합뉴스)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 본사 앞.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최근 3년간 철도사고로 137명이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저한 관리·감독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4일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철도사고는 195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2년 82건, 2023년 68건, 2024년 45건이었다. 이 기간 사망자와 부상자는 각각 68명, 69명이었으며, 연도별로는 2022년 71명(사망 28명·부상 43명), 2023년 35명(사망 19명·부상 16명), 2024년 31명(사망 21명·부상 10명)으로 조사됐다. 

사고 유형은 열차가 다른 열차와 부딪치는 등의 사고가 158건(81%)으로 가장 많았다. 탈선(53건), 건널목 사고(22건), 충돌 사고(9건)가 뒤를 이었다. 운영 기관별로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관할하는 노선에서 전체 77.4%인 151건이 발생했다. 이어 서울교통공사 14건, 공항철도·서울9호선 각 4건, 부산교통공사 3건 순이었다.

사상자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한 번 발생하면 피해가 크다는 점에서 운영 기관의 안전체계 재정비 등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최근에는 경북 청도 경부선 노선에서 2명이 목숨을 잃고 5명이 다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문 의원은 "철도는 국민의 일상적인 교통수단인 만큼 한 건의 사고라도 국민 생명과 안전에 직결될 수밖에 없다"며 "사고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재발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