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가 모자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마스가 모자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정부가 2026년도 예산안에 '마스가(MASGA)'를 포함한 대미 투자 지원에 총 1조9000억원을 편성했다. 

정부는 산업은행·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 정책금융기관을 활용한 '대미 투자 패키지'를 마련하고, 향후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세 기관을 체계적으로 묶어 충분한 지원 여력을 확보한 것"이라며 "향후 방침에 따라 금융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국 정부는 미국에 1500억달러 규모의 조선업 전용 투자 패키지와 전략 산업 투자에 사용할 2000억달러의 범용 투자 패키지를 더해 3500억달러의 투자 계획을 제시하며 미국의 관세 인하를 이끌어냈다. 한국이 제안한 투자 패키지는 미국 정부가 전략적으로 키우는 프로젝트에 투자,대출, 보증 등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예산안에 편성된 1조9000억원의 정확한 용처를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에 대미 직접 투자액은 5% 정도로 한정하고 나머지는 간접 지원하는 보증으로 채워 부담을 최소화하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이번 예산안의 상당액은 보증 지원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미국 측은 직접 부담이 큰 지분 투자 및 대출 비중을 높이길 희망하는 입장이 전해져 향후 대미 투자 결과는 유동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금융 기관별로는 산은이 투자, 수은이 대출, 무보가 보증에 각각 특화된 구조여서 이들 기관에 대한 자본금 확충 및 출연금 확대에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예산에 대해 "실질 투자와 전략적 협력의 시발점"이라며 "마스가 프로젝트가 실행 가능한 산업 외교 수단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