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SKT)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1분기 영업이익 4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5% 증가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2772억원으로 3.99%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2203억원으로 61.48% 감소했다.
회사 측은 "이동통신(MNO), IPTV 등 주요 사업 영역에서 성장을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성장했다"며 "다만 순이익은 작년 11월 시행한 인적분할로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등이 제외돼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SKT와 SK브로드밴드(SKB)는 올해 첫 분기 실적 발표에서 MNO와 미디어 영역에서의 성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SKT는 별도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3조774억 원 영업이익 356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 16.2% 성장했다. 5G 가입자가 100만명 이상 증가하며 이동통신사업에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했다.
또 SKB는 전년 대비 6.1% 증가한 매출 1조26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0.9% 증가한 761억원이다. SKB는 2021년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IPTV 가입자 순증 1위를 달성했다.
올해 SKT는 5대 사업군을 중심으로 성장을 추진한다. 구독서비스 'T우주'는 최근 이용자 100만명을 넘어섰다. SKT의 구독서비스 총 상품 판매액(GMV)은 1분기에만 1300억원을 돌파했다. 높은 이용자 편의성과 소셜 기능을 강점으로 한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도 3월 기준 MAU(월간 실 사용자 수) 135만명을 달성하고, 해외 유수의 통신사들과 글로벌 진출을 협의하고 있다.
미디어 사업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K스토아는 2022년 1분기 매출 895억원을 달성하며 국내 T커머스 매출 1위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엔터프라이즈 사업의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7.4%나 증가하는 등 큰 폭으로 성장했다. 지난해 7월 문을 연 가산·식사 데이터센터는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차기 데이터센터도 준비 중이다. 또한 클라우드의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도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SKT는 5G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지속 노력 중이다. SKT와 SKB는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2794억원의 CAPEX(설비투자)를 집행했다. 4년 연속 3조원대의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SKT와 SKB는 올해에도 전년과 비슷한 규모의 설비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진원 S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22년 1분기에는 MNO와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주요 사업 영역이 고르게 성장했다"며 "5대 사업군을 중심으로 성장과 혁신을 창출하는 한해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 SK스퀘어·SKT-도이치텔레콤, 한국-유럽 잇는 ICT 동맹 강화 나선다
- 이통3사, 해외 여행 증가에 로밍 서비스 강화
- SK스퀘어-SKT, 글로벌 게임사 '해긴'에 500억원 공동 투자
- 이통3사, 가정의 달 맞이 혜택 '펑펑'
- "이통3사 5G 28㎓ 기지국 의무 이행률 11.2% 불과"
- SKT, T팩토리서 '넷제로' 달성 위한 9가지 노력 소개
- [뉴스톡톡] 5G 중간요금제가 없다···소비자는 봉?
- SKT, 괌·사이판 방문객에 넉 달간 '데이터 무제한 무료'로 쏜다
- SKT-청년재단, 청년 고용 지원하는 '오픈콜라보 클래스' 운영
- [신상품] SKT '갤럭시S22+ 제이린드버그 골프 에디션'
- SKT, 개방형 플랫폼으로 로봇 생태계 확장
- 이통3사, 1Q 실적 희비···KT '화창'·SKT '맑음'·LGU+ '흐림'
- "일상의 디지털 메이트"···SKT, 성장형 AI 서비스 'A.' 선봬
- SKT, '이니셜'로 간편 병원 진료 시대 연다
- SKB, 서울디지털재단과 시니어 디지털 콘텐츠 제공 협약
- SK하이닉스 "지난해 9조4173억원 사회적 가치 창출"
- [위투게더] SKB, '환경 인플루언서'로 ESG 실천 박차
- [뉴스톡톡] "SK하이닉스, HR 직원이 공용차 사고냈는데"···제 식구 감싸기?
-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D램 미세화·낸드 적층 한계 돌파할 것"
- SKB, 광산 개발에 ICT 기술 접목···'스마트 마이닝' 사업 추진
- SKB, 국가기간망에 양자암호기술 적용 성공
- SK하이닉스, 현존 최고 D램 'HBM3' 양산···美엔비디아에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