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국토교통부)
본 지구 위치 및 추정분양가. (자료=국토교통부)

[서울파이낸스 노제욱 기자] 역세권과 저층 주거지 등을 고밀 개발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서울 은평구 증산4구역 등 7곳이 처음 본 지구로 지정된다.

29일 국토교통부는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방안'(2.4 공급대책)에 따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선도 후보지로 추진되는 증산4구역 등 7곳을 오는 31일 본 지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사업 추진 후 처음으로 본 지구로 지정되는 후보지는 규모가 가장 큰 증산4구역(4112호)을 비롯해 △신길2(1326호) △방학역(409호) △연신내역(427호) △쌍문역 동측(646호) △쌍문역 서측(1088호) △부천원미(1678호) 등 7개 구역이다.

7개 지구의 도심복합사업이 완료되면 서울 도심에 1만호 가까운 주택이 공급될 전망이다.

정부는 '2.4대책' 발표 이후 도심 내 주택공급 후보지로 총 157곳(16만호)을 확정하고 현재 지방자치단체 사전협의, 주민설명회 등 지구 지정을 위한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공급 규모는 대규모 택지사업으로 조성된 분당·판교·광교 등 신도시 3곳에서 공급된 주택을 모두 합친 수준(16만호)이라고 국토부는 강조했다.

특히 16만호 가운데 서울 9만호를 포함해 14만호가 수도권 역세권 등에 입지해 있고 나머지도 광역시 도심에 집중돼 있어 도심 내 대규모 주택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도심복합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주도해 역세권과 저층 주거지, 준공업지역 등 도심 내 노후 지역을 고밀 개발해 신축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국토부 조사에 따르면 서울에서 민간 주도의 정비사업이 지구 지정부터 분양까지 약 13년 걸리는 데 비해 도심복합사업은 통합심의 등을 통해 분양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약 2년 6개월에 불과하다.

이번에 처음 본 지구로 지정되는 7개 구역의 주민 분담금은 8000만∼2억4000만원 수준으로 책정됐다. 이는 민간 정비사업과 비교해 30% 이상 낮은 수준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지구별로는 경기 부천원미의 평균 부담금이 2억4000만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쌍문역 서측(1억7000만원) △쌍문역 동측·연신내역·신길2(1억3000만원) △증산4(9000만원) △방학역(80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주민에게 현물보상으로 공급하는 주택가격은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부천원미가 5억7000만원으로 가장 낮았고, 신길2구역이 7억60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에 공급하는 분양주택도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공공주택으로 전량 공급된다. 이에 따라 분양주택의 분양가도 인근 시세 대비 60∼70%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용 84㎡ 일반공급 분양가는 △신길2구역 8억9000만원 △연신내역 7억5000만원 △증산4 7억3000만원 △쌍문역 서측 7억2000만원 △쌍문역 동측 6억7000만원 △부천원미 6억5000만원 △방학역 6억4000만원 수준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심복합사업이 현재 26곳에서 주민동의를 확보하고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내년에는 추가로 5만호 규모의 지구 지정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본 지구로 지정된 구역은 후속 절차를 차질없이 진행해 내년 말부터 사전청약에 착수하고 후년에 착공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