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전자가 메모리에 이어 시스템 반도체 제품에 대해서도 '국제 환경 인증'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영국 카본 트러스트(The Carbon Trust)로부터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 제품 4종에 대해 '제품 탄소 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 PCF)'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카본 트러스트는 2001년 영국 정부가 설립한 비영리 기관으로, 탄소 배출 절감을 위한 신기술, 혁신 등에 대한 지원과 정보 공유, 인증을 담당한다.
'제품 탄소 발자국'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발생하는 탄소를 탄소 발자국 산정 표준(PAS 2050)에 맞추어 산정한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이다. 제품 제조에 필요한 전기, 용수, 가스 등의 유틸리티(Utility)와 원료 생산 과정, 그리고 수송에서 발생하는 탄소량을 엄격한 국제심사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특히 반도체는 수백 개의 복잡한 제조 공정을 거치고,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와 양이 많기 때문에 인증 과정이 더욱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제품 탄소 발자국을 획득한 제품은 모바일 시스템온칩(SoC) '엑시노스(Exynos) 2100', 모바일 이미지센서 '아이소셀(ISOCELL) HM2', 디지털 TV(DTV) SoC 'S6HD820', 타이밍 컨트롤러(TCON) 'S6TST21' 등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 4종이다.
삼성전자는 제품 생산에 활용되는 반도체 공정 중 식각과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가스량을 감축하고, 온실가스 분해 장치의 처리 효율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 제품 소비전력 효율화를 위한 솔루션도 적용하며 탄소 발생을 최소화했다.
휴 존스 카본 트러스트 인증위원장은 "삼성전자의 지속 가능한 경영 활동에 함께하게 돼 기쁘다"며 "제품 탄소 발자국은 삼성전자가 탄소 배출을 줄여가겠다는 의지를 고객에게 제시하는 지표다"라고 말했다.
장성대 삼성전자 DS부문 지속가능경영사무국 전무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삼성전자의 환경친화적인 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제품 탄소 발자국 획득과 저감 인증을 동시에 확대해 나가며,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 반도체 업계 최초로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메모리 제품에 대한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았고, 2020년에는 탄소 저감 인증까지 취득했다. 삼성전자는 현재까지 총 14개 제품에 대해 카본 트러스트로부터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획득했다.
- '3년간 4만명' 약속한 삼성, 하반기 공채 돌입···13일 서류 마감
- 삼성SDS,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방안 제시
- [신상품] 삼성전자 '비스포크 김치플러스'
- 삼성, '성능·안정성 강화' 마이크로 SD카드 신제품 출시
- 삼성·통신3사·네이버·카카오 총출동···'AI 최고위전략대화' 출범
- 삼성 美 제2 파운드리 텍사스 테일러 유력···세금·인프라 관건
- 갤럭시Z·아이폰13 '쌍끌이'···5G 가입자 2천만명 '무난'
- [초점] '정중동' 이재용, 경영활동 확대할까
- [신상품] 삼성전자 '갤럭시 A52s 5G'
- 이재용 '3년 계획' 첫 걸음은 '동행'···삼성 '드림클래스 2.0' 시작
- 삼성전자-고려대, '친환경 에너지 연구센터' 설립에 맞손
- 美 상무부 "한국은 반도체·배터리 공급 핵심 파트너"
- [신상품] 삼성전자 '화상 회의에 최적화된 웹캠 모니터'
- '삼성 파운드리 포럼' 2년 만에 온라인 개최
- [신상품] 삼성전자 '비스포크 1도어 냉장고'
- 삼성 '더 프레임'으로 모나리자 감상한다
- "삼성 냉장고, 獨 소비자 매체 평가 1~3위 석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