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한국 조선업계가 3개월 연속 중국을 제치고 세계 수주 1위를 차지했다. 업황이 개선됨에 따라 올해 1~7월 누계 수주량도 2008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11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 401만 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100척) 가운데 한국이 181만CGT(24척·45%)를 수주해 1위를 자리를 지켰다.
다음으로는 중국이 177만CGT(49척·44%)를 따내며 2위에 올랐다. 일본은 40만CGT(21척·10%)로 3위를 기록했다.
올해 1~7월 누계 수주량은 2970만 CGT로, 중국이 1348만CGT(474척·45%)을 수주하면서 1위를 달성했다. 한국은 1276만CGT(304척·43%)를 따내면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 4월 중국과의 8%포인트(p)까지 벌어졌던 격차가 2.4%p까지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하반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발주가 본격화하면 추월이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2008년 1550만CGT 이후 최대를 나타내기도 했다.
7월말 전세계 수주잔량(남은 일감)은 6월 말 대비 178만 CGT(2%↑) 증가한 8247만 CGT를 나타냈다. 국가별로는 한국 122만 CGT(5%↑), 중국 85만 CGT(3%↑) 증가한 반면, 일본은 11만 CGT(1%↓) 감소했다. 한국은 지난 2월 이후 5개월째 증가하며 2687만CGT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998만CGT보다 34% 늘어난 수치로, 한국은 한·중·일 3국 중 가장 큰 증가 폭을 나타냈다.
선가를 나타내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도 9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이달 첫 주 144.5p를 찍었다. 이로써 신조선가지수는 2011년 9월 140.6p 이후 약 10년 만에 140p대를 회복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이 지난달 대비 850만 달러 상승한 1억3850만 달러를 기록하며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LNG운반선은 500만 달러 상승한 1억9600만 달러를, 원유 운반선(VLCC)은 350만 달러 오른 1억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 2분기 어닝시즌 반환점···반도체·화학 '웃고' 조선 '울고'
- "조선업계, 하반기 수주 주춤···2023년부터 수익 개선"
- [단독] "상위 25%만 선물공세"···삼성重, 인력 유출 차단 목적?
- '임단협 타결' 현대重 노사, 조선산업 발전 선언
- 조선업계, 목표 조기달성에도 '울상'···2Q '어닝쇼크' 불가피
- 철강·조선업계, 하반기 후판값 인상 놓고 이견 '팽팽'
- 조선업계, 상반기 수주량 13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 포스코, 2Q 영업익 2.2兆 '사상 최대'···철강 '새역사' 썼다
- 韓 조선, 상반기 수주량 7년래 최고치···1위 중국과 '박빙'
- 조선업계, 올해 목표치 70% 넘었다···초과달성 기대감 '쑥'
- 삼성重, 5대1 무상감자 주총 통과···"재무구조 개선 박차" (종합)
- 韓 조선업, 5월 수주 1위 '재탈환'···친환경 선박 '8할'
- 대우조선해양, 2Q 영업손 1조74억원···적자 전환
- 삼성重, 1조2천억 규모 유상증자 추진···"재무구조 개선 박차"
- 아시아나항공, 2Q 영업익 949억원···전년 比 17.5%↓
- 韓 조선업, 8월 전 세계 수주량 57% '압도적 1위'···中의 2배
- 호황 맞은 조선업계, 컨테이너선 발주 분주···해상운임·물동량↑
- 삼성重 찾은 文대통령 "K-조선, '압도적 세계 1위' 재도약"
- 대우조선해양, 대형 LNG선 4척 수주···올해 목표 104% 초과달성
- 삼성重, LNG 이중연료 추진 컨선 6척 8412억원에 수주
- 조선업계, 전 세계 LNG선 95% 휩쓸어···中·日 발주문의 이어져
- 韓 조선업, 10월 전 세계 선박 절반 휩쓸어···1위 복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