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전기는 초소형·초고용량 5G 스마트폰용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MLCC는 전자제품 회로에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 부품이다. 스마트폰이나 가전제품, 자동차 등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사용된다. 최근 MLCC 업계에서는 5G 스마트폰에 탑재할 초소형·초고용량 MLCC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삼성전기가 이번에 개발한 MLCC는 1005 규격(가로 1.0㎜, 세로 0.5㎜)에 27uF(마이크로패럿)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세계 최고용량을 구현했다.
삼성전기가 새로 개발한 MLCC는 같은 규격의 기존 제품(22uF)보다 용량을 20%가량 늘렸다. 이를 위해 핵심 원자재와 제조 공법을 차별화했다고 설명했다.
MLCC의 전기 저장용량을 높이려면 유전체층을 더 많이 쌓아야 하는데 삼성전기는 MLCC 업계에서 사용하는 원자재 파우더 중 가장 작은 크기인 50㎚(나노미터) 파우더를 개발해 유전체층 두께를 기존보다 더 얇게 만들었다. 기존 제품보다 150층 이상의 유전체층을 더 쌓아 저장용량을 높였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아울러 삼성전기가 개발한 MLCC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고성능 반도체에 들어오는 신호잡음(노이즈)를 줄여 반도체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했다.
김두영 삼성전기 컴포넌트사업부장 부사장은 "5G 이동통신 상용화와 스마트폰의 고성능화로 초소형·고성능·고신뢰성 MLCC 수요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며 "핵심 원자재 자체개발, 차세대 설비공법 등 초격차 기술력 생산 능력 강화로 시장에서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며 고객의 성공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전기는 1988년부터 MLCC 사업을 시작했고, IT부문에서 세계 2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선택과 집중' 삼성전기, 영업익 1조클럽 복귀 '청신호'
- '최대실적' 삼성전기, 경영진·연기금 행보는 엇갈려
- "삼성전기, 1분기 최대 실적·하반기 긍정적 '매수 적기'"-NH證
- "삼성전기, 내년 모든 사업부 동반 호조···목표가↑"-한국투자證
- "삼성전기, 내년 사상 최고 실적 전망···목표가↑" -대신증권
- 삼성전기, 정기 임원 인사···안정수 부사장 등 16명 승진
- 삼성전기 정기 임원인사 [명단]
- '코로나 직격탄' 제주항공, 무상감자·유상증자 추진
- 국내 모바일 시장 '애플 딜레마'···LG-삼성 '속앓이'
- 삼성전기, KPCA서 5G·AI·전장용 등 최첨단 반도체 기판 선봬
- 삼성전기 오창열 상무, '전자·IT의날' 대통령표창 수상
- 삼성전기, 5G 기지국용 고용량·고전압 MLCC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