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LG그룹은 22일 비대면 화상회의로 진행된 '사장단 워크숍'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워크숍은 기존에 LG인화원에 모여 하루 동안 진행됐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비대면 화상회의로 오전동안 진행됐다.
우선 이날 LG 최고경영진 40여명은 LG경제연구원으로부터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외 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청취하고, 대응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LG경제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 여파가 길어짐에 따라 글로벌 경제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보호주의 확산과 탈세계화 가속화, 환율 등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동·교역의 제약은 수요 재편으로도 이어져 △홈(Home) △건강·위생 △비대면·원격 △친환경 등 새로운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LG 최고경영진은 사업별 특성에 맞는 기회를 찾아 비즈니스 모델 혁신 등을 통해 발 빠르게 대응해야 생존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고, 주요 시장별 공급망 유연성도 높여 나가기로 했다.
또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경쟁을 넘어 고객 중심 기업으로 전환을 가속화 하는 것이 필요하고, 고객과 시장을 더욱 세분화해 구체적인 니즈를 찾아 집요하게 파고드는 실행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
고객 가치 실천과 관련해 구매 이전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에서부터 사후서비스에 이르는 각 단계별 고객 접점에 대한 면밀한 점검과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한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Digital Transformation) 가속화와 관련해서는 디자인과 상품기획, 마케팅 의사결정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LG전자의 적용 사례를 살펴봤다. CEO들은 경영활동에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하는 한편 구성원들이 새롭게 도전하는 DX 시도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LG는 하반기부터는 LG 계열사의 20여개 조직에서 선정한 40여개의 세부 DX 과제를 본격적으로 실행해 성과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구광모 LG 회장은 이날 "앞으로의 경영환경은 더 심각해지고, 어려움은 상당기간 지속될 걸로 보인다"며 "어려움 속에도 반드시 기회가 있는 만큼, 발 빠르게 대응해 가자"고 말했다.
구 회장은 이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개인화 트렌드가 니치(Niche)를 넘어 전체 시장에서도 빠르게 보편화 될 것"이라며 "평균적인 고객 니즈에 대응하는 기존의 접근법으로는 더 이상 선택 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구 회장은 그러면서 "고객에 대한 '집요함'을 바탕으로 지금이 바로 우리가 바뀌어야 할 변곡점"이라고 덧붙였다.
- LG전자, 가전관리 앱 'LG 씽큐' 새 버전···챗봇도 도입
- LG전자, 신작 스마트폰 'LG 윙' 출고가 109만8900원 확정
- 탈모 치료기 'LG 프라엘 메디헤어', 대한모발학회 첫 선
- LGU+, 푸조·DS에 '커넥티트카' 기술 입힌다
- LGU+, 구글 클라우드와 5G MEC 협력한다
- LG헬로비전, 임직원 자녀그림 콘테스트
- 탈모치료까지? LG전자, 新가전 끝판왕 등극 노린다
- LG유플러스 "'유샵 Live' 방송 보고 사은품 받아가세요"
- LG화학 "배터리 신설법인 IPO해도 지분 70~80% 보유"
- LGU+, 5G기반 실외 자율주행로봇 실증
- LG전자, 1968년 나온 '골드스타 에어컨' 디지털 캠페인
- 구광모 LG 회장의 '뚝심·승부수'···배터리 사업 접자는 의견에도
- LG전자 생활가전, 美 소비자 만족도 2년 연속 1위
- "가전이 차 안으로"···LG전자, 자동차 인테리어 콘셉트 공개
- LG전자, 러시아서 헌혈캠페인 "사회적 책임 실천"
- LG전자, 안마의자 'LG 힐링미'···"맞춤안마, 음성인식까지"
- LG전자, e스포츠 대회 'LG 울트라기어 페이스오프' 개최
- 재계 빅4 총수, '위드 코로나' 시대 '추석 경영구상' 화두는?
- LG家 구본준 고문 '分家'···상사·하우시스 등 계열 분리
- [신년사] 구광모 LG 회장 "고객 이해하고 감동 완성해 'LG 팬' 만들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