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한국과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 항공산업 회복을 위해 항공보안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는 등 공동 노력키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7일 김상도 항공정책실장과 다비 라조에(Darby LaJoye) 미국 교통보안청 보안수석실장이 전화통화를 통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김 실장은 이번 통화에서 주요 내용인 △항공 인프라 방역(항공기 및 공항 방역·소독 강화, 기내 승무원 마스크 착용 의무화) △입국자 관리(지정게이트 운영, 특별입국절차로 진단검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한 자가격리 관리) △출국자 관리(3단계 방역체계 도입, 탑승 전 발열검사) 등 3개 분야를 상세히 소개했다.
김 실장은 "전례 없는 감염병 사태에도 한-미간 항공노선이 운항중단 없이 원활히 운영되고 있는 것은 양국간 각별한 협력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코로나19 상황 변화에 따라 한-미간 항공운송 정상화를 위한 양국의 공동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다비 라조에 보안수석실장은 한국의 항공분야 방역체계를 최고수준으로 평가하며 향후 미국이 항공여객 수요 회복을 위한 계획 마련 시 국토부에서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따라서 양국은 미국행 승객에 대한 보안 인터뷰 및 추가검색 면제 등을 위한 '한-미 항공보안체계 상호인정'을 조속히 추진키로 했다. 해당 상호인정이란 구체적으로 양국의 항공보안 규정을 비교‧분석하고, 현장 확인점검을 거쳐 상대국 보안체계가 자국 보안체계와 동일하다고 인정하는 제도다. 이를 시행 시 양국은 중복적 규제를 완화·제거해 미국행 승객에 대한 무작위검색 축소·재검색 면제 등을 기대하고 있다.
앞서 국토부와 미국 교통보안청은 지난해 12월 한-미 항공보안체계 상호인정 추진 합의서를 체결했고 이에 따라 양국간 관련 규정 검토 등을 진행해 왔다. 또한 한-미 항공보안 협력의 일환으로 미국 교통보안청에 파견 중인 국토부 직원이 코로나19 대응 관련 양국간 의견 조율, 항공보안체계 상호인정 등 중요업무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양기관간 직원 교류는 한-미 협력의 상징이며 타국에 모범사례가 되고 있는 만큼 상호간 직원 파견 정례화에 힘써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진행 상황을 주시하며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국내 공항 현장방문 등을 실시하고, 연내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김 실장은 "코로나19 극복에 관한 양국 항공보안당국의 협력적 입장을 공유할 수 있었고, 향후 이를 기반으로 항공보안체계 상호인정 등에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제주항공, 1분기 영업손실 657억원···'적자전환'
- 진에어, 국내선 3개 노선 신규취항
- 사천시, '코로나19 직격' 항공부품업체 전방위 지원
- 아시아나항공, 발행주식 총수 한도 또 늘려···"자본확충 대비"
- 코로나 진정세···항공업계, 일부 국제선 운항재개 '시동'
- 대한항공 1조 유상증자, 한진칼 경영권 분쟁 '재점화'?
- 정부, '자격상실' 위기 처한 A380 조종사 지원
- 코로나에 막힌 수출···민관 합동으로 하늘길 연다
- 은성수 "기간산업 지원, 국유화 없을 것···의결권 행사도 안 해"
- 산은 "상반기 대한항공에 1.2조···LCC 추가 지원 검토 안해"
- [초점] '취임 1년' 조원태, 위기 속 경영정상화 이뤄낼까
- 대한항공, 최대 15% 할인 '선불항공권' 판매
- 대한항공, 13일 이사회 열어 1조원 규모 유상증자 추진
- 대한항공, 1조 유상증자 확정···"2.2兆 수혈, 위기 극복"
- [특징주] 대한항공, 1조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하락세
- 한진칼, 대한항공 유증 참여 '유력'···담보대출 거론
- 한진칼, 대한항공 증자 참여···"자산매각·대출로 재원 마련" (종합)
- 대한항공, 1Q 영업손 566억 '적자전환'···"화물부문 선방"
- 대한항공, A350 항공기 '카고 도어' 400대 후속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