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 성준법감시위는 삼성 측에 전달했던 권고문에 대한 삼성 측의 답변을 받아본 후 노동 관련 구체적인 개선 의견 등을 재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준법감시위는 지난 3월 11일 준법 의제로 경영권 승게, 노동, 소통 세 가지를 선정한 후 권고문을 만들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삼성전자 등 7개 계열사에 송부하고 30일 이내 회신을 요청했었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2일 서울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제4차 정기회의를 열고 시민단체 '삼성피해자공동투쟁'의 요구사항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삼성피해자공동투쟁은 삼성해고노동자고공농성공대위, 보험사에대응하는암환우모임, 과천철거민대책위 등이 결성한 단체다.
앞서 준법감시위는 지난달 27일 삼성피해자공동투쟁과 면담을 진행했다. 삼성피해자공동투쟁은 면담에서 삼성생명 서초타워 인근의 철탑에서 고공농성 중인 삼성 해고노동자 김용희씨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요청했다.
이 단체는 또 위원회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권고한 내용과 관련, 의견을 제시했다. 당시 삼성피해자공동투쟁 측은 위원회 활동이 이 부회장의 재판과 무관하게 이뤄져야 하고, 이 부회장이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도록 권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삼성의 불법 행위들을 시정하도록 강력하고 구체적인 권고안을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같은 요구에 대해 준법감시위는 아직 삼성 측에 전달했던 권고문에 대한 회신이 오지 않아 해당 문제에 대한 의견을 낼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준법감시위는 권고안에 대한 삼성 측의 사과문을 검토한 뒤 노동 관련 구체적인 개선 의견 등을 재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위원회는 권고안에 대한 삼성의 회신 시한을 오는 10일로 제시했다.
한편 이날 위원회는 홈페이지 개설 후 접수된 30여건의 신고·제보와 관련 사무국의 보고를 받았다. 조사 필요성 등을 판단해 사안을 건별로 분리하고 해결 방향을 정했다.
이달 중 열릴 예정이던 삼성 7개 계열사 컴플라이언스 관계자 워크숍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됐다.
이밖에 준법감시위 사무국은 외부 변호사 2명, 회계사 1명이 충원돼 인력 구성을 마쳤다고 위원회는 전했다.
- 삼성 준법감시위 권태선 위원 사퇴···"소속 단체와 이견"
- 삼성 준법위 홈페이지 오픈···'최고경영진 비위' 익명 제보 보장
- 삼성 준법위, 이재용 부회장에 '노조·승계·소통' 사과 권고
- 삼성 준법감시위, '노조·승계·소통' 권고안 만든다···내주 홈페이지 오픈
- 김기남 "올해는 '100년 기업' 원년···코로나 위기엔 선제 대응"
- '무단 열람 사과' 끌어낸 삼성 준법감시委, 3차 회의···현안은?
- 삼성, '2013년 임직원 시민단체 후원내역 무단 열람' 사과 [전문]
- 삼성전자, 이사회 중심 책임경영 강화···독립·투명성 제고
- [기자수첩] 삼성의 '준법 경영', 지멘스 본 받아야
- [신상품] 한국투자증권 '국민기업 삼성전자 랩'
- 이재용 부회장, 이태원집 동생 이서현에 247억에 매각
- 이재용 연관어 1위 '코로나19'···누리꾼 '재판'엔 무관심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오늘 '대국민 사과' 예정
- 이재용 삼성 부회장 대국민 사과 "경영권 물려주지 않겠다"
- 대법, '이재용 재판부 기피신청' 심리 착수···"2~3개월 소요"
- 삼성 준법위 "'이재용 사과' 의미 있지만 실천방안 뒷받침돼야"
- 삼성, 고공농성 해고노동자와 합의···"겸허히 사회와 소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