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SK온은 호주 퍼스에서 글로벌 리튬(Global Lithium Resources)과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SK온은 향후 글로벌 리튬이 소유·개발중인 광산에서 생산되는 정광(스포듀민, Spodumene)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다. 또 글로벌 리튬이 추진중인 생산 프로로젝트에 지분을 매입할 기회도 갖게 된다.
이 외에도 글로벌 리튬과 광물 채굴, 리튬 중간재 생산 등 배터리 밸류체인 내 추가적인 사업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글로벌 리튬은 2018년 설립돼 호주 증권거래소에 상장됐으며, 현재 호주 내 2개 광산에서 대규모 리튬 정광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이 광산들의 리튬 매장량은 총 50만톤으로 추정된다.
리튬은 배터리 양극재의 필수 원재료지만, 채굴과 정제가 쉽지 않아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9월 톤당 2만달러에서 1년만에 톤당 6만7000달러까지 치솟았다.
류진숙 SK온 전략담당은 "이번 협약은 SK온의 글로벌 생산력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사는 공급망 확대를 가속화하는 추가 사업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론 미첼 (Ron Mitchell) 글로벌 리튬 매니징 디렉터는 "전기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배터리용 리튬 수요 성장세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글로벌 리튬이 세계적인 배터리 제조기업인 SK온과 업무 협약을 맺은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최태원까지 나섰다···K-배터리,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
- "SK온, LG엔솔과 유사한 행보···흑자전환 변곡점 도달했다"
- SK온, 최고운영책임자 신설···진교원 SK하이닉스 사장 영입
- 배터리 업계, 고체 전해질 개발 '몰두'···상용화 빨라지나
- LFP 배터리 개발은 하지만···"중·저가 모빌리티 한계, 결국 NCM"
- "오늘만 산다"···삼성SDI 시설투자 전략에 대한 우려
- SK온-포드-에코프로비엠, 북미 양극재 생산 시설 공동 투자
- SK온-포드 합작 배터리 사 '블루오벌SK' 공식 출범···세계시장 공략
-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 "2030년 글로벌 넘버원 목표"
- SK온, 호주 레이크리소스 지분 10% 투자···리튬 23만톤 공급받기로
- 리튬값, 3개월 연속 최고가 경신···전기차 배터리 수요급증 영향
- SK온, 칠레 SQM과 리튬 장기구매 계약 체결
- SK온-SK시그넷, 충전기 활용 배터리 진단 서비스 사업 추진
- SK온-에코프로-GEM, 인도네시아서 니켈 공급망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