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해 영업이익 7685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인 2020년과 비교해 42.0% 증가한 17조8519억원으로 집계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 GM·에너지저장장치(ESS) 리콜 관련 비용과 경쟁사 합의금 등 일회성 요인들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를 제외한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6조8597억원, 9179억원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 경영 악재로 연 매출 목표였던 18조9000억원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다"면서도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고 수율 등 생산성 개선 노력을 바탕으로 전년대비 42% 상승한 매출 실적을 거뒀다"고 말했다.
4분기 실적만 놓고보면 매출은 전년대비 1.9% 증가한 4조4393억원, 영업이익은 757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신규 전기차(EV) 출시 확대로 파우치와 원통형 EV향 출하 물량이 늘고, 신규 IT용 소형 파우치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분기인 3분기(4조274억원) 보다 10.2%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원재료비 상승, 물류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다소 떨어졌지만 GM의 리콜 비용이 반영돼 3728억원 적자를 기록했던 전분기에서 흑자전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매출 목표를 19조2000억원으로 설정했다. 전년매출 대비 약 8%,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약 14% 높다. △연간 전기차 시장 수요 성장 △원통형 매출 확대 △고객사 반도체 수급 이슈·리콜 대응 물량 우선 공급 등에 따른 영향을 모두 반영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를 위해 올해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시설 투자에 총 6조3000억원 가량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총 투자액(4조 원) 보다 58% 증가한 액수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부회장은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품질 향상 및 수익성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미래 준비를 위한 투자는 과감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삼성·SK·LG, 채용문 열린다···'청년 고용' 규모 관심
- GM "상반기 중 얼티엄셀즈 제4공장 설립 계획 발표"
- GM·LG엔솔, 미시간주 전기차·배터리 공장 가속화···7.7조 투입
- '꿈의 배터리' 기대감 높아졌다···"가격 비싸 시간 걸릴 듯"
- 권영수 LG엔솔 부회장 "기업공개로 세계시장 선도"
- LG에너지솔루션, 비즈니스 연속성 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 ㈜LG, 작년 영업익 2조4601억···전년比 55%↑
- LG엔솔, MSCI 지수 편입 소식에도 하락···주가 전망은?
- LG에너지솔루션, 2022 파트너스 데이 개최
- LG엔솔, ESS SI 업체 인수···통합 솔루션 경쟁력 강화
- LG엔솔, RE100 이사회 정책자문기구에 선정
- 차세대 배터리 기술 모두 모여라···'인터배터리' 17일 개막
- [현장] 전기차 다음은···ESS 안전성 강조한 '인터배터리'
- LG에너지솔루션 "공정 개선 후 'ESS 발화요인 미발견'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