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1% 성장 가능할까···회복세 속에 리스크 회피 관건
내년 3.1% 성장 가능할까···회복세 속에 리스크 회피 관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 소비 회복세에 힙입어 견조한 성장세 이어갈 듯
통화긴축·오미크론·공급병목·정치불안 등 리스크 산적
기업들이 모여 있는 서울시내 전경.(사진=서울파이낸스 DB)
기업들이 모여 있는 서울시내 전경. (사진= 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내년도 우리나라의 경제 전망을 두고 금융·경제 전문가들의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는 있다. 최근 정부는 '2022년 경제전망'을 통해 내년 경제성장률을 3.1%로 전망했다. 대내외 다른 기관들보다 '낙관적'인 수치인데, 모든 부문에서 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물가 안정과 견조한 성장률이란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반면 전문가들은 3% 내외의 성장 전망을 예측하면서도, 회복 흐름이 견고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글로벌 긴축 흐름, 공급망 불안 등에 더해 코로나 변이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재차 세계 경제를 뒤흔들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친 낙관적인 전망을 경계했다.

22일 경제·금융업계에 따르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대체로 2% 후반~3%에 부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부는 최근 '2022년 경제전망'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의 내년도 경제성장률이 3.1%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한국은행이나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3.0%보다 0.1%p, 현대경제연구원·LG경제연구원에서 제시한 2.8%보다 0.3%p 높은 수치다. 3%를 웃도는 대외 기관들의 전망도 있지만, 최근 리스크가 반영되지 않은 수치들이다.

정부는 '완전한 경제 정상화'를 핵심 키워드로 꼽았다. 본격적인 일상회복 등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으로 내년 민간소비 회복세(3.8%)가 올해(3.5%)보다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수출·수입 증가율도 올해보다 각각 2%, 2.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건설투자도 각각 3.0%, 2.7%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80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내년에도 우리 경제는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면서 "내수·수출이 고르게 성장하면서 정상화는 한층 빨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에서 기대하는 것 외에도 들여다 봐야 할 리스크가 적지 않다. 대내외 리스크 요인들을 더욱 세세히 살펴보면 마냥 낙관만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먼저 세계 통화여건은 긴축 흐름에 진입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영국, 한국 등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 모두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그간의 이례적인 완화적 통화정책을 정상화하고 있다.

국내로 보면 가계부채 관리 및 한계기업 정상화 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가계부채 총량 관리를 위해 부채 증가율을 4~5%로 관리한다는 목표를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양적완화 시대가 막을 내리고 본격적인 긴축 흐름에 접어들고 있는 만큼, 금리 인상에 따른 서민·취약 계층의 이자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는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신흥국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가계의 운신폭을 줄여 민간 씀씀이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오미크론 공포'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도 주요 리스크 중 하나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1일 오미크론의 첫 감염자가 보고된 이후 19일 만에 지배종이 됐다고 밝혔다. 최근 일주일 새 오미크론 감염자는 신규 확진자 중 73.2%를 차지했다. 영국의 신규 확진자수는 일일 9만명에 달했고, 세계보건기구(WHO)는 확진자 급증에 대비할 것을 강조했다. 독일·포르투갈은 이미 모임 제한에 나섰고 영국·스페인 등도 곧 방역규제에 돌입할 것이란 전망이다.

들불처럼 번지는 코로나 확산은 경제·금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21일(현지시간) 내년 미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1~3분기(2~3%) 모두 하향 조정했다. 프랑스 중앙은행과 독일 중앙은행도 각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0.1%p, 1%p씩 내렸다. 뉴욕 3대 지수, 국제유가 모두 전날까지 하락 국면을 이어갔다. 이외에도 글로벌 공급망 재편, G2 외 무역 갈등 등의 리스크도 남아있다.

국내 역시 코로나19 재확산이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다. 우리나라도 위드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홍역을 앓으면서 재차 방역 규제 강화에 들어갔다. 신규 확진자수가 연일 7000명대 안팎을 오르내리는 가운데 오미크론 변이까지 확산세에 더해질 경우 내수 부문의 침체가 불가피하다.

정부는 전망 보고서를 통해 리스크 요인으로 오미크론을 꼽았지만, 충격 강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인 지난 2018년(2.9%)과 2019년(2.2%)에도 넘어서지 못했던 3% 이상의 성장을 내겠다는 정부의 공언은 사실상 목표치에 가깝다는 게 경제계의 평가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도 정부의 전망치 달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다. 내년 3월 예정된 한치 앞도 예상할 수 없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나온 이례적인 경제전망이기에, '3개월 시한부 정책'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미 부처 간 마찰을 빚고 있는 공공요금 문제 등 인플레 압력 대응, 전염병 대응 방안, 내수 회복 집중 등의 목표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내년 3% 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잠재성장률과 비교해 충분히 높은 수준이라는 평가다. 다만 지나친 낙관에 대해서는 경계했다. 특히 내년 한국 경제가 스크루플레이션 상황에 이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크루플레이션은 쥐어짠다는 의미의 '스크루'와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물가 상승과 실질 임금 감소 등이 함께 맞물리는 것을 뜻한다. 즉, 경제지표상의 회복에도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더욱 각박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은 "한국 경제는 내년에도 회복세를 보이겠으나, 올해 강한 회복 국면을 지나 회복력은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현 확산 기조에 오미크론 변이까지 더해질 경우 내년 1~2월 확산세가 가라앉지 않으면서 국내 경제에도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 역시 오미크론발(發) 방역 규제 강화에 따른 위기가 지속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내년 (정부가) 제시한 숫자보다 조금 덜 나온다고 해도, 2%대 잠재성장률을 상회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면서도 "다만 정부가 경제 전망치를 사실상 목표하는 수준으로 제시하는 경향이 있어 실제 전망치는 기대보다 낮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문제는 재정 투자 대비 성과가 크지 않다는 점과 회복이 온전치 않은 상황에서 물가 충격이 강해지고, 코로나 전개가 가라앉지 않는 점 등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