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넷플릭스·구글 등 해외 콘텐츠사업자(CP)들이 국내 인터넷제공사업자(ISP·통신사)에 망사용료를 지불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국내 플랫폼 기업들이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21일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개최된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네이버, 카카오는 매년 통신사에 700억~1000억원 수준의 망 이용대가를 내고 있지만 구글, 넷플릭스는 트래픽 상위 사업자임에도 불구하고 망을 무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네이버 카카오가 해외 CP가 무상 이용하는거 알면서 납부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뭐라 생각하나"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사실 글로벌 서비스 업체와 통신사 간 관계가 어떤식으로 구성된지 잘 알지 못해서 의견 내긴 어렵다"면서도 "그런 부분까지 다 고려해서 공정한 인터넷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의원님이 힘 써주셨으면 좋겠다"고 조심스럽게 답했다.
또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최고책임자(GIO)는 "역차별 문제에 대한 고민이 있다"며 "망 비용을 낸다고하면 훨씬 많이 쓰는 해외 기업들도 같은 기준으로 망이용대가를 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CP들은 통신사들에게 망 이용 대가를 납부하고 있지만, 구글과 넷플릭스 등 글로벌 CP는 협상력 우위를 바탕으로 망 이용 대가를 내지 않겠다고 버티며 역차별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국회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CP의 국내 망 이용대가 부과를 의무화하는 법안 입법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후 김 의원은 한상혁 방통위원장에게 "입법 하는데 적극 찬성하는가"라고 질문했고 한 방통위원장도 "그렇다"라고 답했다.
- 승승장구 '로켓모바일' 제동?···KT·LGU+ "法위반 확인시 계약 해지"
- [뉴스톡톡] 국민은행, 알뜰폰 약진···마케팅 경쟁 격화
- '위드 코로나' 기대감···LCC, 지방공항發 국제선 운항 재개 '시동'
- 김범수 의장 "카카오T 대리운전 수수료 내리도록 노력"
- "대한항공+아시아나, 독과점 노선 221개···절반 넘어"
- 한성숙 네이버 대표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유가족·동료에 사과"
-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 "인앱결제강제 금지법 아쉽지만 사업모델 변경"
- "삼성, 온실가스 저감률 업계 최하"
- 김범수 의장, 모빌리티·카톡 선물하기 등 지적에 "거듭 죄송"
- 네이버, '2021 제9회 널 웨비나' 개최···'디지털 포용' 모색
- 네이버, '키워드 리뷰' 정식 출시···기존 '별점' 내년 1분기 중단
- 네이버, AI 중심 새로운 검색 서비스 '에어서치' 출시
- 카카오, 3분기 영업익 1682억원 '40%↑'···플랫폼·콘텐츠 고른 성장
- 넷플릭스 "ISP와 상호보완적 협력"···망사용료는 기존 입장 반복
- 한상혁 방통위원장, 구글플레이 글로벌 정책 총괄 면담
- 카카오재팬, '카카오픽코마'로 사명 변경하고 프랑스 진출
- 카카오, 류영준 신임 공동대표 내정···"혁신 DNA 살린다"
- 공시지원금 추가 한도 15%→30%···'단말기유통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