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카카오는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16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9% 증가했다고 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7408억원으로 58.2% 늘었고, 당기순이익도 8663억원으로 502.7% 급증했다.
이러한 카카오의 호실적은 플랫폼과 콘텐츠의 부문의 고른 성장이 바탕이 됐다. 카카오의 올해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7787억원으로 집계됐다.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4049억 원이다. 비즈보드, 카카오톡 채널 등 광고형 매출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톡스토어, 선물하기 등 거래형 매출이 성장을 견인했다. 포털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1192억원이다. 플랫폼 기타 부문 매출은 카카오페이의 결제, 금융 서비스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2547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9621억원이다. 스토리 매출은 플랫폼과 지적재산권(IP) 유통 거래액의 견조한 성장과 함께 타파스와 래디쉬의 편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성장한 2187억 원을 기록했다. 뮤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1971억 원을 달성했으며 미디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한 831억원이다. 게임 매출은 4631억원으로 양대 마켓에서 1위를 달성한 모바일 게임 '오딘'의 기록적인 성과로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했다.
올해 3분기 영업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60% 늘어난 1조5726억원으로, 글로벌 사업의 확장에 따른 투자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한편 카카오는 친환경 오피스 구축, 소상공인, 창작자, 창업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인 '카카오 클래스' 진행,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한 ESG펀드 조성 등을 통해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카카오는 향후 글로벌 콘텐츠 생태계 확장과 차세대 기술 경쟁력 확보에 앞장서고, 상생과 혁신을 위해 지속적인 ESG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 '오딘 효과' 카카오게임즈, 3분기 영업익 427억원···전년比 101%↑
- 넷플릭스·구글 망 무임승차에···이해진 "역차별"·김범수 "공정 환경 힘써야"
- 김범수 의장 "카카오T 대리운전 수수료 내리도록 노력"
- 카카오, 창사 첫 임원 직급 도입···C레벨 10명 인사
- 김범수 카카오 의장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책임 회사로 전환"
- 김상희 "카카오톡 오픈채팅, 아동·청소년 성범죄 창구로 악용"
- 허은아 의원 "아동대상 디지털성착취물 4년간 4배 급증"
- "카카오모빌리티, 전화대리운전업체 2곳 인수 철회"
- [특징주] 카카오페이, 상장 둘째날 하락세
- 카카오재팬, '카카오픽코마'로 사명 변경하고 프랑스 진출
- 게임업계, 대작 경쟁 돌입···글로벌 시장서 '진검승부'
- 카카오페이, 코스피200지수 조기 편입 가능할까
- 카카오 '음mm', 크리에이터 후원 기능 '응원하기' 도입
- 카카오, 디지털카드 서비스 확대
- 카카오, 류영준 신임 공동대표 내정···"혁신 DNA 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