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DAN25'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DAN25'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피지컬 인공지능(AI) 기반의 휴머노이드 로봇 '미니노이드'를 공개하고 이달 말 네이버1784 사옥에 본격 투입한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팀 네이버 통합 콘퍼런스 '단25(DAN25)'에서 "네이버랩스가 휴머노이드를 준비하고 있다"며 "오늘 전시하지는 않지만, 이달 말부터 키가 1m 정도 되는 아이(휴머노이드)가 네이버 사옥에서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상용화를 염두하기 보다는, 피지컬 AI를 위한 OS(운영체제)나 API(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실제로 잘 동작하는지 실험해보기 위함"이라며 "로봇이 공간을 인식하고 이해하며, 스스로 판단·행동하는 기술이 피지컬 AI' 덧붙였다.

네이버클라우드는 AI 기술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피지컬 AI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지난 2016년부터 로봇과 자율주행 연구를 시작했으며, 2021년에는 이를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피지컬 AI로 발전시켰다.

김 대표는 "네이버는1784 사옥과 데이터센터 곳곳에서 로봇이 축적한 리얼 데이터와 이를 연결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그리고 온보드 AI를 결합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피지컬 AI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대표는 "우리의 데이터와 인프라, 기술로 산업의 AI 전환을 현실로 만들겠다"며 '소버린(주권형) AI 2.0' 비전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기존 소버린 AI가 언어와 문화를 중심으로 기술 자립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2.0'은 이를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데이터와 AI를 안전하게 운영하기를 원하는 기업들을 위해 자사의 프라이빗 클라우드인 '뉴로클라우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내년 6월에 선보일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한편 이날 김 대표는 최근 네이버가 엔비디아로부터 블랙웰 GPU(그래픽처리장치) 6만 장을 공급받기로 한 것에 대해 "하이퍼클로바X는 물론 온서비스 AI, 피지컬·버티컬 AI 등 전 분야에 활용될 것이기 때문에 6만 장도 충분하지는 않다"며 "퓨리오사 등 많은 NPU(신경망처리장치) 개발 업체들이 자체 칩 개발을 도전하고 있고, 성능이 좋다면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