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백화점의 신선식품 코너. (사진=박소다 기자)
한 백화점의 신선식품 코너.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파이낸스 나민수 기자] 농산물 가격에서 생산자가 받는 몫을 제외한 유통비용이 절반에 달하며 배추와 무 같은 일부 품목은 소비자가격의 60~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23년 농산물 유통비용률은 49.2%로 2013년 45.0%보다 4.2%포인트(p) 높아졌다. 소비자가 만원을 지출하면 유통업체가 4920원을 가져가는 셈이다. 1999년 38.7%에서 20여년 만에 10%포인트 넘게 상승했다.

품목별로 편차가 컸다. 쌀이 포함된 식량작물은 35.9%로 낮았으나 양파, 대파 등 조미채소류는 60.8%, 배추·무는 64.3%에 달했다. 세부 품목 중 월동무 78.1%, 양파 72.4%, 고구마 70.4%로 70%를 넘겼다.

정은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신선도 유지가 까다로운 채소일수록 유통비용률이 더 높다"며 "생산자가 실제 가져가는 몫은 수치로 보이는 것보다 더 적다"고 지적했다.

유통비용 증가에는 인건비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지만 유통업체 이윤 확대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23년 유통이윤은 14.6%로 10년 전보다 1.2%p 올랐다.

정 연구위원은 "농산물 유통은 세금이 없어 정확한 이윤 규모를 알 수 없다"며 "도매업체와 소매업체 수익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영세 농가에 비해 도매업체의 시장지배력이 큰 상황"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유통구조 개혁은 현 정부의 주요 과제다.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전 식료품 물가가 지나치게 높다며 유통개편 속도를 당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온라인 도매시장 확대와 경매 외 정가·수의 매매 허용 등을 포함한 개선책을 추진 중이다.

송미령 장관은 국무회의에서 "온라인 도매시장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면서 연간 거래규모 20억원 이상이어야 판매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준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전환과 함께 가격 투명성 강화, 생산자 직접 유통 능력 제고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과정이 단순하고 관리가 용이한 온라인 도매시장의 비중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