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코너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박소다 기자)
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코너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지난달 먹거리 물가(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르면서 서민들의 밥상 물가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국은행 목표치인 2% 수준을 이어가고 있으나 체감 물가 부담은 더 큰 것으로 보인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5% 상승했다. 이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보다 높은 수치로 지난해 7월(3.6%)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다.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말부터 지난 5월까지 2.0~3.0%를 유지해오다가 최근 두 달 연속 3%대 중반을 나타내고 있다.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온 현상이 지속되고, 가공식품 출고가도 줄줄이 인상된 여파로 보인다.

식료품 중 어류와 수산(7.2%) 물가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상승률이 두 달 연속 7%대에서 고공행진하며 2023년 7월(7.5%) 이후 2년 만에 가장 높았다.

구체적으로는 오징어채(42.9%)와 조기(13.4%), 고등어(12.6%) 등이 많이 오르며 밥상 물가를 높였다.

빵과 곡물(6.6%)도 2023년 9월(6.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쌀(7.6%)은 2024년 3월(7.7%) 이후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라면(6.5%)은 3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보였다.

과자·빙과류 및 당류(5.0%), 기타 식료품(4.7%), 우유·치즈 및 계란(3.6%) 등 가격도 많이 올랐다.

비주류 음료에선 커피·차 및 코코아(13.5%),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 및 채소주스(3.4%) 가격이 비교적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