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남성이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를 당하고 있다. (그림=챗GPT)
60대 남성이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를 당하고 있다. (그림=챗GPT)

[서울파이낸스 박영선 기자]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가 급증하면서 금융당국이 강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특히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 전액을 금융권이 물어주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까지 추진되면서, 카드사들 역시 보이스피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준비 중인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안'에는 '보이스피싱 무과실 배상책임' 등을 담을 예정이다. 

이용자가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을 경우 보이스피싱 예방 책임이 있는 금융사가 보이스피싱 피해액 일부 혹은 전부를 배상해야 한다는 것.

보이스피싱 수법이 갈수록 고도화되기 때문에 개인에게만 전적으로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아울러 당국은 보이스피싱 대응을 위한 전담부서와 전문인력 배치를 의무화하고, 금감원이 보이스피싱 피해가 집중된 금융사의 대응 역량을 평가할 계획이다. 

그간 금융사들은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에 따라 보이스피싱 피해를 자율적으로 배상해왔으나, 비밀번호 위·변조에 따른 제 3자 송금·이체 경우에만 적용돼 배상이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뒤따랐다. 

보이스피싱 수법은 갈수록 교묘해질 뿐만 아니라 건수 역시 증가 추세다. 경찰청이 집계한 올해 1~2월 중 카드 배송원 사칭 전화 사기 제보 건수는 총 1만1158건으로, 전년 동기(234건)보다 455.3% 급증했다.

상황이 이렇자 카드사들도 보이스피싱 피해를 최소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한카드는 AI핀테크 기업들과 공동 개발한 솔루션을 도입, 문자메세지와 통화 패턴, 설치된 앱 목록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등 고객이 피싱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피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6월에는 '신한 SOL이 지켜드림' 서비스를 출시해 보이스피싱에 취약한 시니어 고객을 대상을 최대 2000만원까지 보상 받을 수 있는 맞춤형 보호 서비스도 선보였다. 

하나카드는 지난해 '피싱케어' 구독형 상품을 출시했다. 피싱, 해킹사고 시 최대 2500만원을 보상 받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케어'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원격점검서비스와 피싱, 스미싱 문자에 대한 알림탐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대 300만원, 인터넷 쇼핑몰 사기 발생에는 연간 최대 200만원까지 보상해준다. 

KB국민카드는 금융사기 신속 알림 서비스를 개편, 금융사기 범죄 타깃이 되는 고객군을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신종사기 수법과 예방수칙도 계속 추가해나갈 계획이다. 

우리카드도 올해 '보이스피싱 보상 보험 무료가입' 서비스를 개시했다.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 중 연 최대 300만원을 보상해주며, 가입 완료 시점으로부터 1년간 보장한다. 

현대카드의 경우 보이스피싱 사고 전담 조직인 'Fraud 관리팀'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앱카드 등 간편결제 서비스에 '사전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pre-eFDS)'를 업계 최초로 도입, FDS 외에도 디지털 현대카드 서비스인 락앤리밋(Lock&Limit) 가상카드번호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고도화되면서 피해 건수와 규모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당국도 손질에 나선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금융사고 예방과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새로운 시스템 고안을 위해 계속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