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민이 서울 시내 은행 현금인출기(ATM)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시민이 서울 시내 은행 현금인출기(ATM)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송금종 기자] 보이스피싱 범죄에 악용된 계좌수가 최근 5년간 15만개 이상으로 집계됐다.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국내 6개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에서 사기이용계좌로 신고돼 지급 정지된 건수는 15만82개다. 

이는 금감원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피해 구제 신청 내역 기준 수치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이 3만4436개로 가장 많고 이어 △NH농협은행 2만7381개 △우리은행 2만4816개 △신한은행 2만2510개 △하나은행 2만1378개 △IBK기업은행 1만9561개 순이다. 

6대 은행 합산 지급 정지 계좌 수는 △2020년 2만3381개 △2021년 2만7967개 △2022년 2만8185개로 늘었다. 2023년엔 2만7652개로 줄었다가 지난해 3만2409개로 뛰었다.

올해는 1분기에만 1만488개 계좌가 정지됐다. 

같은 기간 5대 지방은행(부산·광주·제주·전북·경남)에서 사기이용계좌로 신고돼 지급 정지된 계좌는 9621개다. 은행별로는 △부산은행 4508개 △경남은행 2713개 △전북은행 1108개 △광주은행 1075개 △제주은행 217개 순이다. 

연도별로는 △2020년 1210개 △2021년 1557개 △2022년 1919개 △2023년 1958개 △2024년 2203개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 1분기엔 774개 계좌가 정지됐다.

지난해 시중은행으로 전환된 iM뱅크(옛 대구은행)의 경우 5년여 동안 4534개로 집계됐다. 국내 소매금융을 철수한 한국씨티은행 계좌도 같은 기간 649개가 정지됐다. 

박성훈 의원은 "보이스피싱에 악용된 계좌 수만 보면 우리 금융보안 체계에 심각한 구멍이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수준"이라며 "날로 지능화되는 범죄 대응을 위해 은행권·수사기관·금융당국 간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강화하고 사전 차단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