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전환을 앞당기기 위해 해상풍력 보급을 전담할 범정부 태스크포스(TF)가 출범했다. 정부는 이번 TF를 통해 인허가·인프라·금융 등 현장의 걸림돌을 해소하고, 초기 프로젝트의 성공적 안착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여의도 전력기반센터 회의실에서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해상풍력은 삼면이 바다인 한국의 입지적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으로, 탄소중립 달성과 함께 조선·철강 등 연관 산업에도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해상풍력은 현재 0.35기가와트(GW) 수준에 불과하지만, 정부는 2022년 경쟁입찰제 도입 이후 총 4.1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또 올해 3월 해상풍력특별법을 공포하는 등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약 14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약 100조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초기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허가 절차의 복잡성, 전력망 등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문제 등이 집중 논의됐다. 이같은 애로사항을 해소해 해상풍력 보급 기반을 마련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호현 산업부 차관은 "전문가들 모두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본격 확대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고 말한다"며 "현재 추진 중인 4.1GW 프로젝트의 성공적 정착 여부가 향후 전체 보급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