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빌딩 (사진=포스코그룹)
포스코 빌딩 (사진=포스코그룹)

[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포스코 노동조합이 임금·단체협상 교섭이 답보 상태를 이어가자 사측을 향해 강경대응을 예고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조 측은 오는 5일까지 회사가 실질적인 대안을 내놓지 않으면 전면적인 파업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노조는 이번 임단협에서 기본급 인상과 성과급 체계 개선, 노동조건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측과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교섭은 수개월째 교착 상태에 놓여 있다. 노조는 “회사가 시간을 끌며 성의 없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더는 기다릴 수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노조는 조만간 쟁의 대책위원회를 열고 구체적인 대응 수위를 결정할 계획이다. 사측이 제시할 마지막 협상안이 교섭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측은 지난 협상에서 △2022년 이후 입사자 보전급 지급(근속분 약 6만원 반영) △전 직원 성과급 400% △교대근무수당 8% 통일 △성과급제(PI) 신설 △정년퇴직자 100% 재채용 △연속근무 시 유급 휴무 보장 △승진제도·주택자금 대부제도 개선 등을 포함한 최종안을 내놓은 바 있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해에도 6개월간 교섭을 이어갔지만 기본급과 격려금 문제로 난항을 겪었다. 노조는 창사 56년 만에 파업을 예고하는 등 갈등의 골이 깊어졌지만, 파업 예고 전날인 12월 18일 기본급 10만원 인상과 일시금 600만원 지급 등에 대해 합의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강경하게 나서는 배경에는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 노조 활동 전반이 힘을 받고 있다는 점도 있다"며 "사측이 협상안을 조율하지 못하면 교섭이 장기화하면서 생산과 수출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