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미래 해운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는 북극항로 개척에 민관협력이 본격화된다.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는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금융 및 정보 인프라 구축 계획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의 독점 심화, 낮은 경제성 등의 과제를 해결하고 전방위적인 지원을 시행할 방침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해진공은 지난 25일 국회에서 '북극항로 개척방안 및 선결관제 점검' 토론회를 개최하고 항로 운항을 위한 금융 및 정보 마련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국내 주요 해운기업과 학계, 정책 관계자 등이 참석해 북극항로 개척 필요성과 실행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북극 운항을 위한 전용선박, 운항 정보, 연료공급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뿐만 아니라 관계자들은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전방위적인 투자에 앞서 현재 항로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고 당면한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특히 현재 북극항로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러시아, 중국을 견제하지 않는다면 다양한 사업 기회를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재 북극항로는 중국과 러시아의 독점 심화로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홍성원 영산대 북극물류연구소 소장은 2023년부터는 중국 뉴뉴쉬핑이 북극항로를 독점 운항하고 있으며, 러시아 국영 원자력 회사 로사톰은 뉴뉴쉬핑과 지난해 조인트벤처를 설립해 4400TEU급 쇄빙 컨테이너선 5척 건조를 협력 중이라고 전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 제재로 북극항로 인프라 개발이 난관에 봉착한 러시아는 중국과의 이러한 협력 관계를 지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외에도 북극항로는 경제적 취약성 및 막대한 투자 비용이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이상철 HMM 컨테이너선대기획 팀장은 북극항로 운항 선박의 화물 적재량이 수에즈 운하 경유 선박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해운사 관계자들은 쇄빙선·내빙선 투자와 극지 항해 전문 승조원 교육에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팀장은 정부 주도로 북극항로 통항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러한 과제들을 극복하고 북극항로 개척을 가속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안들도 잇따랐다. 해진공은 북극항로 관련 기금 신설과 북극항로 운항지원 종합센터 설립을 검토안으로 제시하며 금융 및 정보 인프라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을 밝혔다.
김정균 해진공 사업기획팀장은 북극항로 개척 기금을 조성해 △쇄빙선·내빙선 도입 지원을 위한 선박금융 △극지 항로 시범 운항비 및 참여기업 인센티브 제공 △해외 거점 항만 확보 및 연료 공급 인프라 투자 등에 활용 등 다각적인 재원 활용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해운업계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정책금융 도입 방식의 유연성을 확대하고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마련도 추진할 예정이다.
해진공은 시범 운항 데이터를 축적·분석해 각 선사에 안전 정보를 제공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북극항로 활용을 위한 종합정보체계를 구축할 '북극항로 운항지원 종합센터' 설립을 검토 중이다. 나아가 해진공은 관계 부처와 민간 전문가를 포함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법·제도 개선을 포함한 실행 로드맵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들도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다양한 제언을 내놓았다. 해운선사 관계자들은 북극항로 진출이 쉽지 않음을 전제해 국가 차원의 전방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극지 항해 전문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 △북극 해운 데이터 센터 설립 운영 △내빙 선박 확보 지원 및 실질적 운항 경험 축적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진공은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제안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민간 전문가와 협력하여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로드맵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안병길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은 "북극항로 개척은 단순한 항로 확보를 넘어 국가 해운사업의 전략적 도약 기회"라며 "금융과 정보, 네트워크 역량을 총동원해 북극항로 시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해진공이 민·관 협력의 허브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북극항로 잭팟③] 북극항로가 지닌 잠재력···전략 거점 부산의 중요성
- [북극항로 잭팟②] 조선·철강·해운, 북극항로에서 새로운 기회 찾는다
- [북극항로잭팟①] "해운·물류 거점도시로"···해수부 부산 이전, 국가 해양전략 전환 신호탄
- 한국해진공, '북극항로 개척' 대한 토론의 장 연다
- 한화오션, 해양수산부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 체결
- 해진공, '물류 공급망 투자펀드' 통해 美 현지 물류센터 매입
- "북극항로 개척 본격화 한다"···해진공, 북극항로 종합지원센터 신설
- 해진공, 해운 산업 AI·디지털 전환 지원···용역사에 LG-CNS 선정
- 중국, 첫 북극항로 개척···해수부의 '북극항로' 정책, 흔들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