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직방
자료=직방

[서울파이낸스 나민수 기자] 정부가 '가계부채관리강화방안(6.27 부동산대책)'을 발표한 지 2주가 지난 가운데, 서울의 아파트 최고가 거래량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후 2주간의 최고가 거래량은 발표 전 2주간보다 74% 감소했다.

6월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강남권을 시작으로 마포, 용산, 성동 등지로 집값 상승세가 빠르게 확산됐다. 투자 수요와 실수요자들이 대거 몰리며, 대책 발표 전 2주(6월 13일~6월 26일) 동안 4만693건의 거래 중 1만141건이 최고가 거래로 집계됐다. 전체 거래의 24.3%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지금 사지 않으면 더 오른다"는 불안심리가 마포, 성동, 강동 등지로 퍼지며 최고가 거래가 집중됐다.

정부는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등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대책을 내놨고, 발표 익일부터 즉시 적용됐다. 이로 인해 거래량과 최고가 거래 모두 급감했다.

실제로 대책 발표 후 2주(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는 300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전 대비 74% 줄었고, 최고가 거래 비중도 22.9%로 1.4%포인트 감소했다.

최고가 거래는 일반적으로 매수 심리와 적극적 매입 태도를 반영한다. 최근 최고가 거래 비중의 감소는 공격적 매수세가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별로 보면, 대책 전 최고가 거래가 많았던 마포, 성동, 강동 등에서 최고가 거래가 크게 줄었다. 성동구는 대책 전 2주간 139건에서 대책 후 22건으로 84% 감소했다.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87% 줄었고, 강동구도 23건으로 80% 감소했다. 주요 단지별로도 △텐즈힐2단지(7건→2건) △옥수파크힐스(13건→1건)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8건→2건) △래미안솔베뉴(8건→2건) 등 신축 대단지 위주로만 간간이 최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강남구는 대책 전 112건에서 대책 후 41건으로 63% 감소했다. 래미안대치팰리스, 개포주공5단지 등 주요 단지에서는 최고가 거래가 전무했다.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줄었다. 다만, 강남3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여 있어 계약 시점과 서류상 계약일 간 시차가 존재하므로, 실제 위축 정도는 거래량만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그 외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 다른 지역도 최고가 거래가 줄었다. 전방위적 대출규제로 투자심리뿐 아니라 실수요자도 관망세로 돌아서며, 이들 지역 역시 최고가 거래 감소가 뚜렷하다.

김은선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규제 발표 2주가 지난 현 시점에서 거래량만으로 시장 흐름을 단정하긴 이르지만,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은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초기 혼란은 다소 진정됐으나, 매수 문의가 줄고 거래는 사실상 멈춰선 상태로 기존 매물의 호가도 일부 조정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