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한국거래소가 오는 6월 자체적으로 금융 파생상품시장 야간 거래를 운영하는 체제로 전환한다. 파생상품시장 야간 거래 시간이 종전보다 1시간 늘어나고, 거래 가능한 상품도 10개로 확대된다
3일 한국거래소는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파생상품시장 자체 야간거래 도입을 위한 업무규정 개정을 예고했다. 거래소는 지난해 12월 야간거래 전산시스템 구축·개발을 완료했고, 오는 5월말까지 야간거래 모의시장 운영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그간 한국거래소는 유럽 최대 파생상품거래소인 독일 유렉스(Eurex)와 연계해 야간 거래를 운영했다. 그러나 한국거래소의 정규 거래(주간거래)와 다른 계좌를 사용하고 유렉스 회원사를 통해 참여하는 등 거래에 불편이 존재했다.
이에 거래소는 자체 전산시스템을 직접 구축해 정규 거래(주간 거래)와 동일한 거래제도를 적용해 운영하는 '자체 야간 거래 운영 체계'로 전환할 예정이다. 유렉스 연계 거래 상품인 5개에서 코스닥150 선물, 미니코스피200 옵션, 코스닥150 옵션, 3년 국채선물, 10년 국채선물 등 5개 상품을 신규 추가한다. 이에 따라 총 10개의 KRX 대표상품을 상장할 예정이다.
거래시간도 현행 대비 1시간 연장해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총 12시간 동안 거래가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오후 6시부터 오전 5시까지 거래가 가능했다.
거래소는 "야간시간 동안 해외시장 이벤트에 대해 실시간으로 헤지(위험 회피)할 수 있는 기회를 투자자에게 제공하고, 정규 거래와 동일한 거래 절차 및 방법을 적용해 투자자들의 불편 사항을 해소했다"며 "해외투자자의 경우, 해외 주간 시간에 KRX파생상품을 쉽게 거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요 경쟁거래소는 파생상품시장 자체 야간 거래를 도입·운영하고 있어 우리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거래소는 향후 이해관계자, 시장참가자 대상 의견수렴 및 금융위원회 승인 등을 거쳐 오는 6월 초 파생상품시장 자체 야간 거래를 도입할 예정이다. 전산시스템 개발 및 회원사 준비 상황 등을 감안해 구체적인 도입 일정이 확정될 경우 재공지할 계획이다.
- 코스피 상장사, 지난해 영업익 61.68% 증가···전기·전자·운송 주도
- 공매도 전면재개 첫날···총 1조6096억원 거래돼
-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에 정규일 전문위원 선임
- 한국거래소, 공시규정 시행세칙 개정···7월부터 시행
- 거래소, 비상 시장점검회의 개최···테마주·공매도 모니터링 강화
- 거래소, 태국증권거래소와 차세대 청산결제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 증권사, 유렉스 연계 청산 수순···KRX 야간시장 전환 본격화
- 작년 파생상품 발행잔액 10년 만에 최저치···홍콩ELS 사태 영향
- 거래소, 2025년 12월물 국채선물 최종결제기준채권 지정
- 넥스트레이드 영향력 확대···한국거래소, 거래시간 연장 카드 꺼내나
- 해외주식 주간거래, '블랙먼데이' 악몽 딛고 1년 만에 재개 임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