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국토교통부는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차량을 판매한 18개 제작·수입사에 과징금 117억3000만원을 부과했다고 10일 밝혔다.
과징금을 부과한 제작·수입사는 액수가 큰 순서대로 비엠더블유(BMW)코리아, 케이지모빌리티(KGM), 혼다코리아, 르노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테슬라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스카니아코리아그룹,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스텔란티스코리아,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현대자동차, 바이크원, 기아, 제이스모빌리티, 에프엠케이(FMK), 한솜바이크, 오토스원다.
BMW코리아는 740i 등 13개 차종 스티어링 휠 내부 접지 불량으로 첨단운전자보조기능(ADAS)이 정상 작동하지 않은 사유로 가장 많은 29억88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안전기준 부적합 차량의 매출액, 시정률, 과징금 상한액 등 '자동차관리법'이 정한 기준에 따라 과징금을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별도로 국토부는 결함을 시정하지 않고 차량을 판매한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스텔란티스코리아,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테슬라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등 6개사에 과징금 총 1억5000만원을 부과했다. 또 판매 전 결함 시정조치를 한 사실을 구매자에게 고지하지 않은 르노코리아에 과태료 500만원을 매겼다.
국토부 측은 "앞으로도 국민들이 안전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기준 부적합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자동차관리법상 위반사항이 확인될 경우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 엄중히 처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서울 전용 84㎡ 아파트 평균 분양가 '17억원'
- 경기도, 하남 기업이전 부지 16.6㎢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 국토장관 "1기 신도시 등 주택 공급 차질없이 진행"
- 철도파업 닷새째, 여객·화물 운송차질 여전···운행률 76.6%
- 서울 빌라 거래량, 월세 10% 늘고 전세는 13% 감소
- 서울 중소형 아파트 거래, 9억원 이하 거래가 절반 넘어
- '자금경색'에 올해 29곳 부도···건설사 줄도산 '공포'
- 현대차, 새 북미권역본부장에 랜디 파커···"경쟁력 있는 車 지속 공급"
- 기아오토랜드광주, '폐기물 매립제로' 최고등급 획득
- [시승기] 실내공간 '넉넉'···가족용 SUV 포드 '더 뉴 익스플로러'
- 日 혼다·닛산, 경영통합 추진···현대차 꺾고 세계 3위 오르나
- 현대차, 신형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출시···"공간 활용 극대화"
- "자율주행 고도화 추진"···KGM, 전문업체들과 기술협력
-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전기차 '폴스타4' 생산설비 설치
- "콜레오스가 살렸다"···르노코리아, 지난해 2.6% 성장
- KGM, 지난해 5.7% 역성장···수출 확대에도 내수가 발목 잡아
- E클래스 30대 '차체 용접 결함'···벤츠코리아 "즉각 리콜 조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