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중국 배터리 업체의 약진이 이뤄지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3사도 지난해에 비해 두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2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1분기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에서 CATL은 33.3GWh로 점유율 35.0%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사용량(14.0GWh)에 비해 137.7%나 성장했다.
또다른 중국 업체인 BYD는 지난해 3.3GWh에서 220.4% 증가한 10.5GWh로 3위에 올랐다. CALB는 4.2GW로 6위에 랭크됐다.
국내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은 39.1% 늘어난 15.1GWh로 2위, SK On은 141.9% 성장한 6.3GWh로 5위, 삼성SDI는 26.2% 성장한 3.6GWh로 7위에 올랐다.
파나소닉 등 일본계 업체들은 14.3% 성장한 9.4GWh를 기록해 4위를 차지했다.
전기차 배터리는 중국 시장의 강세에 힘입어 CATL과 BYD 등 중국계 업체들이 시장을 이끌었다. 특히 CALB의 경우 삼성SDI를 넘어서는 등 점유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국내 3사는 성장세가 주춤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SK온이 현대아이오닉5와 기아 니로EV, EV6 등 판매 증가로 고성장세를 보였지만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의 점유율 하락으로 총 26.3%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1분기보다 6.9%포인트 하락했다.
올해 3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41.4GWh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배 늘었다.
SNE리서치는 "중국과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모두 성장한 가운데, 업체별로는 상당수 중국계 업체들이 시장 성장세를 이끌었다"며 "중국 봉쇄, 전쟁, 반도체 수급 등 문제들이 향후 전기차 판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 SK온, 중고 전기차 배터리 성능 평가 기준 표준화 MOU
- 배터리 3사, 1분기 실적 '희비'
- LG화학, 배터리 열폭주 방지 플라스틱 소재 개발
- LG컨소시엄, 인도네시아 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 프로젝트 추진
- SK온-포드-코치, 터키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
- 정의선, 인니 공장 준공식 참석···조코위 만나 '전기차·배터리' 등 논의 가능
- SK에코플랜트-SK온, 폐배터리 활용한 전력시설 구축
- LG에너지솔루션-RIST, 스마트팩토리 기술 개발 공동 연구
- 완성차 CEO들 잇따라 '배터리 부족' 우려···"제2의 공급 대란"
- 삼성SDI-스텔란티스, 美 인디애나주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 설립
- 삼성SDI-스텔란티스, 美 인디애나주 JV 설립···25억달러 투자
- SK온-포드 합작 배터리 사 '블루오벌SK' 공식 출범···세계시장 공략
- 삼성SDI, '대세' 원형 배터리 라인 1.7조원 투자···말레이 2공장 기공식
- SK온-포드-에코프로비엠, 북미 양극재 생산 시설 공동 투자
- "SK온, LG엔솔과 유사한 행보···흑자전환 변곡점 도달했다"
- 중국 제외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LG엔솔 1위 '수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