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 1%p 오르면 1년 후 임금 0.35%p 뛴다"
한은 "물가 1%p 오르면 1년 후 임금 0.35%p 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OK이슈노트-최근 노동시장 내 임금상승 압력 평가'
"물가상승→임금인상→물가상승···" 악순환 고리 우려
사진=서울파이낸스DB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물가 충격이 시차를 두고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높은 물가 오름세는 물론, 고용회복에 따른 임금상승 압력이 지속 확대될 경우 올해 하반기 임금인상률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는 곧 물가 상승과 임금 인상의 악순환 고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이슈노트'에 실린 '최근 노동시장 내 임금상승 압력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노동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물가 상승이 임금상승으로 이어지는 '이차효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임금상승률을 분석해 보면 △특별급여 △산업별 특이요인 등 지속성이 낮은 부문의 기여도가 예년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로는 지속성이 높은 △정액급여 △산업간 공통요인 등의 기여도도 점차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요인이란 전산업이 공유하는 노동시장 슬랙, 임금 관련 여건 등의 변화를 반영하는 반면, 특이요인은 특정 산업에 국한된 여건 변화를 반영한다.

지속성이 높은 정액급여의 임금상승률 기여도는 지난해 2.6%p를 기록하면서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전 수준인 2017~2019년 3.6%p와 비교해 낮았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 정액급여의 기여도는 점차 확대됐으며, 이같은 증가 모멘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한은은 예상했다. 산업간 공통요인의 기여도 역시 지난해 4.0%p로 팬데믹 이전(2017~2019년중 4.3%p)보다 낮았지만, 노동시장 회복세에 힘입어 빠르게 높아졌다.

또한 임금상승세는 여러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직전 3개년 동월 평균 상승률 대비 해당연도 월 상승률이 높은 산업의 비중(diffusion index)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높은 임금상승률 산업 비중은 지난해 2분기 이후 평균 49.7%를 기록해 연평균(42.4%)을 크게 웃돌았다. 즉, 대다수 고용지표들이 개선되면서 노동시장 내 주요 여건이 임금상승 압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한은이 임금-물가 간 전가 효과를 분석한 결과, 물가 충격은 4분기의 시차를 두고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물가가 1%p 인상했을 때 임금상승률은 천천히 올라서기 시작해 1년 뒤 인상폭이 0.35%p까지 올라섰고, 2년 뒤에는 0.5%p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시차는 1년 단위의 임금협상 관행, 노동시장의 경직성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최근 급격한 물가 상승세는 하반기 이후 임금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오삼일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물가 오름세가) 올해 하반기 임금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물가인상은 실질임금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존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 기저효과 영향이 사라진 올해 물가 상황을 조금 더 살펴봐야겠지만, 올해 하반기 이후 물가가 임금에 미칠 영향은 지난해보다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임금 충격은 전체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특정 품목 물가(외식제외 개인 서비스)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노동비용 상승의 물가 전가는 고물가 시기에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라고 덧붙였다.

물가 상승이 임금 인상을 부르고, 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만큼, 물가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오 차장은 "높은 물가 상승세와 고용회복이 지속될 때 올해 하반기 이후 임금상승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물가상승이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는 이차효과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제 주체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