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5%에서 4.0%로 상향 조정했다. 제조업 중심의 견조한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무디스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무디스는 이날 보고서에서 경제 여건 개선에 따라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0%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 5월 예상했던 전망치인 3.5%보다 0.5%포인트(p) 올려 잡았다. 무디스는 "지금까지 한국의 경제 회복을 떠받쳐온 상당 부분이 수출에서 비롯됐다"며 "공산품, 특히 전자 제품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강해 한국이 수혜를 입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조 부문에서 생긴 공급망의 병목 현상이 반영돼 지난 2분기 성장률(0.7%)은 1분기(1.7%)와 비교해 둔화했지만, 계절 조정치 기준 총생산은 이미 코로나19 이전의 정점 수준을 넘어섰다"고 강조했다.
무디스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에 대해서도 기존 3.0%에서 3.2%로 상향 조정했다. 다만, 코로나19 예방접종 진행 상황에 따라 경제 회복 속도는 향후 상이해질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무디스는 "한국 경제 회복이 강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그것은 예방 접종 일정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번 무디스 전망치는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이후 밝힌 경제전망 수준과 유사하다. 앞서 한은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4.0%, 내년 3.0%로 전망했다.
- 내년 예산 604조 '역대 최대'···文 "코로나 완전 극복·미래 투자"
- 한은 "물가 고공행진, 추세적 움직임···오름세 지속될 것"
-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4% 유지···한은, 경기회복에 무게(종합)
- IMF, 한국 경제성장률 3.6%→4.3% 상향···전망기관 중 최고
- '내수의 힘' 2분기 성장률 0.7%···연 4% 성장 가능할 듯(종합)
- HMM 선원들, 이틀간 선상 시위 나서···"처우개선 필요"
- 코스피, 外人 '사자'에 3주 만 3200선 탈환
- HMM 노사, 9시간 추가교섭도 무위로···2일 재협상
- HMM 노사, 임단협 극적 타결···임금 7.9%↑·격려금 650%
- '펜트업 효과' 2분기 GDP 0.8%↑···연간 4% 성장 청신호
- HMM 노사, '3년 내 임금 정상화' TF 출범···"협력 첫 시발점 돼야"
- HMM "노사, 협력적 관계로 발전···수출화물 차질없는 운송 '총력'"
- 한은 "올해·내년 잠재GDP 2%···성장률, 코로나 이전으로 수렴"
